사업 내용

1. 항목과 표제어
1) 항목 선정의 기본 방향과 범위
  「디지털영암문화대전」에서는 영암군 지역에서 이루어진 역사상의 문화유산과 현대적 양상을 다룰 수 있는 항목을 각 분야 및 유형별로 ‘향토문화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영암문화대전 콘텐츠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삶의 터전
(지리)
자연지리 지질·지형, 기후
인문지리 행정구역, 지명·마을, 교통, 관광
동식물 동물상, 식물상
삶의 내력
(역사)
전통시대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근대, 현대
삶의 자취
(문화유산)
유형유산 유물, 유적
무형유산  
기록유산 향토지, 고문헌·고문서, 고지도
삶의 주체
(성씨·인물)
성씨·세거지 성씨, 세거지
전통시대인물 문무관인, 문인·학자, 효자․열녀, 의병, 승려
근현대인물 의병·독립운동가·군인, 정치인·행정관료·언론인, 경제인,
종교인·예술인·체육인, 교육자·학자
삶의 틀
(정치·경제·사회)
정치·행정 지방자치, 공공기관
경제·산업 경제단체․기업, 시장․산업시설, 특산물
사회·복지 사회단체, 사회시설, 보건의료
과학기술  
삶의 내용 (1)
(종교)
불교  
유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신종교  
삶의 내용 (2)
(문화·교육)
문화·예술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작품, 문화시설,
지역축제․행사
체육 체육단체, 체육시설, 체육대회
교육 교육기관, 도서관·박물관
언론·출판 방송, 출판
삶의 방식
(생활·민속)
생활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민속 평생의례․세시풍속, 민간신앙, 민속놀이 행사
삶의 이야기
(구비전승·언어·문학)
구비전승 설화․민요·무가
언어  
문학 문학작품, 문예지, 문학단체․행사
 
2) 항목의 분류
  「디지털영암문화대전」에 수록된 모든 항목들은 분야별, 유형별, 시대별로 분류하였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분야, 유형, 시대 분류표>
 
분 야
대분류 중분류
지리
(삶의 터전)
자연 지리
인문 지리
동식물
역사
(삶의 내력)
전통 시대
근현대
문화유산
(삶의 자취)
(유형유산)
(무형유산)
(기록유산)
성씨·인물
(삶의 주체)
성씨·세거지
(전통시대인물)
(근현대인물)
정치·경제·사회
(삶의 틀)
정치·행정
경제·산업
사회·복지
과학 기술
종교
(삶의 내용1)
불교
유교
기독교
신종교
문화·교육
(삶의 내용2)
문화·예술
체육
교육
언론·출판
생활·민속
(삶의 방식)
생활
민속
구비전승·언어·문학
(삶의 이야기)
구비 전승
언어
문학
유형 세부 유형
개념 용어 개념 용어(일반)
개념 용어(기획)
개념 용어(개관)
기관 단체 기관 단체(일반)
학교
사찰
놀이 놀이
동물 동물
문헌 전적
단행본
연속 간행물
문서
물품·도구 물품·도구
사건 사건·사고와 사회운동
조약과 회담
성씨 성씨
식물 보호수
식물(일반)
유물 기명류
불상
서화류
유물(일반)
유적 건물
능묘
유물 산포지
탑과 부도
고분
유적(일반)
민간 신앙 유적
음식물 음식물
의례 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의복 의복
인물 문무 관인
효자·열녀
문인·학자
왕족·호족
예술인
종교인
의병·독립운동가
인물(일반)
가공 인물
작품 음악·공연작품 및 영상물
민요와 무가
무용과 민속극
문학 작품
미술과 공예
설화
제도 법령과 제도
상훈
관직
관부(전통 시대)
지명 행정 지명과 마을
고지명
시설
도로와 교량
자연 지명
군락, 서식지 및 철새도래지
특산물 특산물
행사 행사
시 대
대분류 중분류 내용
선사 석기  
청동기  
철기  
고대 초기 국가 시대 고조선
부여
옥저
동예
삼한
삼국 시대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발해
태봉
후백제
고려 고려 전기 918(태조)~1170(의종)
고려 후기 1171(명종)~1392(공양왕)
조선 조선 전기 1392(태조)~1592(선조 25)
조선 후기 1593(선조 26)~1863(철종)
근대 개항기 1864(고종)~1910(순종)
일제 강점기 1910.8.22~1945.8.14
현대 현대 1945.8.15 이후
 
3) 항목의 종류
  항목은 일반항목과 특별항목으로 나누고, 특별항목은 개관항목, 기획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원고량은 200자 원고지를 기준으로 소항목(3~5매), 중항목(7~10매), 대항목(20매 이상)으로 구분된다.
 
일반항목 영암군 지역 향토문화의 모든 정보 요소와 현상을 담는 기초항목.
개관항목 영암군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항목으로서 영암군의 문화 양상을 통시적․공시적으로 개관하는 항목.
기획항목 영암군 지역 향토문화 자원 중에서 특정한 주제나 요소를 통해서 영암군 향토문화의 특징과 다양성을 부각시키고 강조하는 항목.
 
  「디지털영암문화대전」에 수록된 각 항목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일반항목 영산강, 영암호, 영산호, 덕진교, 월출산 국립 공원, 영암 월곡리 느티나무,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 영암 도갑사 석조 여래 좌상, 영암 도갑사 목조 문수·보현 동자상, 「김완 초상」, 「최덕지 초상 및 유지 초본」, 김함의 묘 출토 의복, 엄길리 암각 매향명,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성풍사지 오층 석탑,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 석탑, 도갑사 오층 석탑, 『영암 구림 대동계 문서』, 신희남, 최덕지, 김수항, 전몽성, 최경창, 김창조, 김준연, 현준호, 영암군청, 대불 국가 산업 단지[영암 테크노폴리스], 간척 사업, 영산강 하굿둑, 특산물, 도갑, 영암군립 하 미술관, 영암 구림리 요지, 향토 음식, 누정, 영암 죽정 마을 옛 담장, 가신 신앙, 모산리 산정 당산제, 남해신사 해신제, 도포제 줄다리기, 쌍계사지 장승, 「양달사 장군과 장독골샘」, 「용이 승천하지 못하고 된 용바위」
개관항목 인문 지리, 영암군, 식물상, 동물상, 역사, 선사, 세거 성씨, 정치, 경제·산업, 사회·복지, 과학 기술, 종교, 불교, 유교, 개신교, 천주교, 신종교, 문화·예술, 체육, 교육, 언론·출판,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민속, 구비 전승, 언어, 문학, 행정, 자연 지리
기획항목 가야금 산조의 창시자 김창조와 영암의 명률(伽倻琴 散調의 創始者 金昌祖와 靈巖의 名律), 고려 초기 왕실의 수호자-최지몽(高麗 初期 王室의 守護者, 崔知夢), 고려의 정신적 지주 도선(高麗의 精神的 支柱 道詵), 국제 포구 상대포의 위상(國際 浦口 上臺浦의 位相), 꽃을 품은 과일-무화과(꽃을 품은 과일, 無花果), 낙지와 한우의 찰떡궁합-독천 갈낙탕(낙지와 한우의 찰떡궁합, 犢川 갈낙湯), 남도 농요의 원형-영암 갈곡리 들소리(南道 農謠의 原形, 靈巖 葛谷里 들소리), 남해 해신제의 전당-남해신사(南海 海神祭의 殿堂, 南海神祠), 덕진 다리에 얽힌 덕진 여인의 애환(德津 다리에 얽힌 德津 여인의 哀歡),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상징-왕인(東亞細亞 文化 交流의 象徵, 王仁), 산업화와 세계화의 전진 기지-대불 국가 산업 단지와 대불항(産業化와 世界化의 前進 基地, 大佛 國家 産業 團地와 大佛港), 세계로 달리는 슈퍼 머신-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世界로 달리는 슈퍼 머신, 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 영산강 유역 고대 문화의 상징-고인돌과 옹관 고분(榮山江 流域 古代 文化의 象徵, 고인돌과 甕棺 古墳), 영암의 전통문화 마을 영보(靈巖의 傳統文化 마을 永保), 우리나라 최초 시유 도기의 시원-구림 도기(우리나라 最初 施釉 陶器의 始原, 鳩林 陶器), 월출산의 기를 품은 관광지-기찬 랜드(月出山의 氣를 품은 觀光地, 氣찬 랜드), 월출산의 불교 문화와 유적(월출산의 불교 문화와 유적), 월출산의 자연환경과 사계(月出山의 自然環境과 四季), 월출산의 큰 바위 얼굴과 기암괴석(月出山의 큰 바위 얼굴과 奇巖怪石), 위국충절의 상징-김완 장군(爲國忠節의 象徵, 金完 將軍), 의례와 놀이의 만남-도포제 줄다리기(儀禮와 놀이의 만남, 都浦祭 줄다리기), 호남의 명촌-구림 마을(湖南의 名村, 鳩林 마을)
 
4)항목 선정 기준
  모든 항목은 2011년 2월까지의 상황을 19개 유형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개념용어 영암군의 향토문화 유산이나 문화적 양상, 영암군문화의 분야별 또는 유형별로 종합 서술이 필요한 개념용어
기관단체 영암군에 소재하는 기관단체이거나, 영암군 출신이 조직한 기관단체로 영암군 발전에 공적이 큰 기관단체
놀이 영암군에 전승되어 오거나, 과거에 행해졌던 전통놀이
동물 영암군 내에 분포·서식하면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동물
문헌 영암군을 주제로 한 문헌이나, 영암군 출신의 저명한 인물이 저술한 문헌 중 대표적인 것
물품도구 영암군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품, 특산물
사건 영암군민이 주체가 되어 일으켰거나, 영암군 내에서 발생하여 변혁을 가져온 사실이 있는 사건
성씨 영암군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또는 과거에 집성촌을 이루었거나, 2011년 2월 현재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성씨
식물 영암군 내에 분포 서식하면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식물
유물 영암군 내의 국가 또는 지방 지정문화재는 모두 선정하며, 지정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향토문화 유산으로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는 것
유적 영암군 내의 국가 또는 지방 지정문화재는 모두 선정하며, 지정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향토문화 유산으로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는 것
음식물 영암군의 지역적 특성이 강한 음식
의례 영암군의 지역적 특징이 드러나는 의례 및 기록으로 남아 있는 의례
의복 영암군의 역사적․지역적 특성이 드러나는 의복
인물 영암군 출신이거나, 영암군에 거주하거나, 영암군을 삶의 무대로 활동한 인물 중에서 작고한 인물
작품 영암군 출신 작가의 대표적인 작품이나, 영암군을 소재로 하여 영암군의 특징을 부각시킨 작품 및 영암군에 전승되고 있는 의미 있는 작품
제도 영암군민이 주체가 되어 설치한 기구 및 직명, 영암군에 있었던 행정 기구, 그리고 영암군이 제정한 상훈 등
지명 영암군 내의 법정지명 및 행정지명, 고지명, 자연지명
행사 영암군 내에서 개최된 국제 또는 전국·도 규모의 행사 및 영암군을 대표할 수 있는 향토문화제
 
2. 본문 서술
1) 기본방향
 

● 영암군의 향토문화 항목을 문헌기록, 현지조사 등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 서술한다.

 

● 영암군민의 문화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하여 영암군 지역 문화의 독자성과 우수성을 강조하고, 영암군민의 자부심을 부각시켜 교육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

 

● 원고 내용은 모두 집필자의 견해에 따른다.

 
2)서술방법
  ● 모든 항목에는 관련 내용을 기본정보와 상세정보로 요약·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이 한눈에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정보에는 항목명, 이칭별칭, 관련 항목명, 분야분류, 유형분류, 시대분류, 지역분류, 멀티미디어 자료와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였으며, 상세정보에는 19개 유형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을 담았다.
  ● 모든 원고는 소표제를 붙여 분할된 단위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19개 유형은 각각에 해당하는 주요 소표제 목록을 기준으로 서술되었다. 공통적인 소표제의 대략적인 순서와 그 포함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정의 항목의 간략한 성격 규정과 함께 시대, 관련 인물, 위치, 용도, 이칭(異稱) 등 그 성격이나 문화적 위상을 드러낼 수 있는 내용
2)개설 세계적 기원, 전파, 발달 과정, 범지역문화적 위치 등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설명이 필요한 항목에 국한하여 정의에 대한 보충 설명 및 일반적인 서술 항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해석 및 학설상의 문제, 연구 상황, 각종 자료(주요 저서, 작품 등), 특별 기재 사항
3)명칭유래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된 유래를 살펴보고 언어학적으로 분석할 가치가 있는 명칭의 경우 구체적으로 어원을 분석
4)연원/역사적 관련사항 영암군에서 해당 항목이 어떻게 형성, 전래되었는가 그 연원을 직접적인 원인과 아울러 간접적인 원인을 포괄 서술하되, 동기·목적·시대적 배경·전래·유래 등과 관련 기록에 대한 고찰도 병기
5)변천 시대적 변천 과정, 공식 명칭의 변경, 변이 양상의 출현 및 전개 과정 등
6)형태 외형상 관찰 가능한 요소들의 형태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
7)특징 외래 문화적 요소는 영암군에서의 변용 내용을 서술
역사적·지역적으로 의미가 있는 변별점에 대해 종합적이고 분석적으로 서술
8)현황 소장 상황, 관리 상황, 이용 현황, 주변 현황 등 현재의 상황과 관련하여 언급할 만한 사항들을 포괄적으로 서술
9)생활, 민속적 관련사항 민속, 상징, 풍습, 관련의례 등 영암군의 생활상 또는 민속 관련 상황 서술
10)의의 및 평가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영암군 지역 문화에서의 위치 또는 영향, 각 분야에서의 사적 의의, 타 지역 향토문화와의 비교 등 향토문화 관점에서 본 지역사적 의의 및 평가를 서술
11)참고문헌 원고 내용 서술에 있어서 주요한 전거 문헌, 논문 등과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될 대표적 문헌·논문 등을 함께 열거
 
  ● 현재 영암군에 대한 우리 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서술하였으며, 통설을 기준으로 서술하되 학설상의 이설도 함께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이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반의 통시적·공시적 관련성에 유념하여 서술하였다.
  ● 의의와 평가 부분은 부정적인 측면보다 긍정적인 측면이 부각되도록 서술하였다.
  ● 종합적인 이해를 위하여 비교론적 서술은 특별한 것을 제외하고는 가급적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관적 서술의 내용은 되도록 피하였다.
 
3 문장과 부호
  ●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국립국어원의 원칙을 따르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필요에 따라 약간의 예외를 두었다.
  ● 한글 전용을 원칙으로 하되, 어려운 어구, 특수 용어 등은 괄호 안에 한자 또는 원어를 병기하였다.
  ● 일본어식 용어나 한자어는 되도록 우리말로 바꾸어 썼다.
  ● 읽기 쉽도록 단락을 짧게 나누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연대는 서력기원으로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왕조년을 부기하였다. 또한 태양력이 채택된 1896년 전의 연대는 음력을, 그 뒤는 양력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수치는 아라비아 숫자로 쓰되, 관용적인 성격의 수치는 한글로 썼다.
  ● 도량형 단위는 미터법에 의하여 부호로 썼다. 다만, 과거 사실의 서술에서 정확한 환산이 어렵거나 시대적으로 보아 특별히 부자연스러운 경우는 그 당시의 단위를 사용하였다.
  ● 통계수치는 가능한 한 통계청의 최신자료를 수록하였다.
  ● 모든 고유명사는 가능한 그대로 사용하였다. 특히, 인물의 경우 성씨는 반드시 이름과 붙여 표기하였다.
  ● 원문 인용이 필요한 경우 번역하여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본문에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 소표제 
          『   』 문헌, 저서명 
          「   」 작품, 논문명, 신문기사명, 법조문 제목 
            ·    비슷한 사항의 나열 
            “  ” 인용 
            ‘  ’ 재인용, 강조
 
3. 시청각 자료 구성
  「디지털영암문화대전」의 시청각 자료는 동영상, 사진, 도면, 파노라마 VR, 테마뷰, 특별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시청각 자료는 시청각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영암군의 다양한 모습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 있다.
 
자료 분류 1 분류 2
음향 전통음악
현대음악
사진/동영상/가상현실 자연과 지리 기후
자연지형
동물과 식물
도시와 마을
지역사회와 시설 경제와 산업
공공기관과 단체
지역시설
교육기관
역사와 문화유산 사건과 제도
지정문화재
유물
유적
문화예술과 신앙 종교와 신앙
행사와 축제
문학/문헌 및 작품
생활과 민속 생활사
의식주
도면 지도 고지도
행정지도/안내도
지형도/생태분포도
유물/유적과 도구 평면도 및 단면도
세부도 및 실측도
분포도 및 위치도
도표 자연과 지리
지역사회와 시설
역사와 문화유산
문화예술과 신앙
1) 동영상
  ● 동영상은 기록영상으로 제작되었다. 
  ● 기록영상은 일반 및 개관항목에 의거하여 소재 및 내용을 구성하였다.
- 기록영상은 실제 상황이나 자연 현상을 현장에서 사실 그대로 촬영한 영상으로서, 재현이나 극적 요소를 배제하여 제작하였다.
- 사라져 갈 위기에 처한 향토문화 유산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기록하였는데, 전통적인 생활문화나 양식, 이를 경험하였던 인물, 전통, 예술, 공예 등이 이에 포함된다.
- 지역 사회와 문화의 변천상을 담아야 하므로 장기적으로 기록이 요구되는 자료를 수록하였다.
- 단, 일반 및 개관항목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도봉구의 지역적 특이성이 나타나는 사항에 대해서는 기록영상에 포함시켰다.
  ● 각각의 동영상에는 주요 내용에 대한 자막 외에 설명문을 기재하여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2)파노라마 VR (가상현실)
  ● 파노라마 VR의 VR는 Virtual Reality의 약자, 즉 가상현실을 뜻한다.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치 그 장소에 있는 것처럼 현장을 체험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 공간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소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정, 확대·축소,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현장에서 둘러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 사진과 동영상의 장점을 합하여 입체적인 공간 파악을 가능하게 하였다.
   
3)사진
  ● 영암군의 수려한 자연환경, 우수한 문화유산을 비롯하여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의 변화양상 등을 담은 사진을 통해 역동적인 영암군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 영암군을 담은 다양하고 희귀한 과거 사진을 수집하였고, 이를 디지털 이미지로 가공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 사진 자료에는 소재지, 색인어, 제공자 등의 세부 정보가 있으며, 모든 사진 자료는 설명문이 기재되어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4)도면 자료
 

● 도면은 독립적 자료 또는 원고 내용과 사진, 동영상 등으로 내용 전달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완 자료로서 수록하였다.

  ● 각종 유물·유적의 구조와 분포도, 지형도, 고지도 등을 도면 자료로 수록하였다.
   
5)음향 자료
  ● 영암군과 관련 있는 음향 자료를 수록하였다.
  ● 음향 자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가사, 작사·작곡자, 시연자 등의 세부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6)테마뷰
  ● 영암군의 대표적 명소, 주제나 내용상 연계될 수 있는 자료, 취재 대상이 되는 마을을 대상으로 파빌리온(Pavilion)을 구성하여, 수집 제작된 멀티미디어 자료들이 관련성을 가지고 서비스 될 수 있도록 하였다. 
   
7)특별영상
  ● 「동국명산기」,「남행록」, 기타 지리지 등에 나타난 월출산의 시문, 기문을 현재의 지리 정보와 함께 유려한 영상으로 구성하여, 월출산에 대한 역사, 문화, 지리 정보를 입체적으로 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