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2626 |
---|---|
한자 | 金俊民 |
영어음역 | Kim Junmin |
이칭/별칭 | 성인(成仁)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백태남 |
성격 | 무신 |
---|---|
출신지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
성별 | 남 |
몰년 | 1593년(선조 26)![]() |
본관 | 상주 |
자 | 성인(成仁) |
추증 | 가선대부 형조판서|지의금부사 |
제향 | 창렬사(彰烈祠) |
대표관직 | 거제현령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상주. 자는 성인(成仁). 고려 때 직제학을 지낸 김후(金後)의 후손으로 군수 김녹돈(金祿敦)의 손자이다. 아들 김봉승(金鳳承)은 정유재란 때 진주 발재[鉢峴]에서 전사하였다.
출생년은 미상으로 산청의 단성에서 살았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1583년(선조 16) 북평사 이제신(李濟臣)과 함께 군관으로 출정하여 북쪽 야인을 격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는 거제현령으로서 감사 김수(金睟)와 함께 왜군에 대항하였고, 이후 제2차 진주성전투에 참여하여 끝까지 싸우다 1593년(선조 26)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때 합천의 의병장이 되어 왜장 모리[毛利輝利]의 부대를 격파하였으며, 김시민 목사가 진주성을 사수할 때 의병을 거느리고 산청의 시천지방에서 왜적을 방어하여 제1차 진주성전투의 승리에 기여하였다. 이듬해 왜군이 다시 진주성을 공격하자 진주성에 들어가 동문의 지휘 장수가 되어 끝까지 항전하다가 힘이 다하여 전사하였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봉되었고, 후에 가선대부 형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진주의 창렬사에 제향되었으며,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발산리에 신도비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