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조선시대의 효자.
[가계]
자는 수백(壽伯). 석정(石亭) 정홍조(鄭弘祚)의 증손이다.
[생애]
글씨를 잘 써서 이름을 날렸으나 문과에는 실패하고 무과에 급제하여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렸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어 어머니의 병환 때에는 귀한 물고기와 산삼을 구해 병을 고쳐 드렸고,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서는 죽으로만 3년을 연명하며 예를 다했다.
[상훈과 추모]
마을 사람들이 그 효성에 감복하여 경상감사에게 알려 세금을 면제시켜 주었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3「효행조(孝行條)」에 이름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