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봉서원 건축 이야기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B020104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석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순강

도봉서원 은 석산마을의 중앙부에 있는 독립구릉 정상부에 자리잡고 있다.

이 구릉에는 육중한 와가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데, 배치 또한 구릉을 따라 좌우, 상하로 넓게 포진하고 있어 더욱 웅장하게 보인다. 멀리서 보아도 예사롭지 않은 마을임을 암시하고 있다. 입지상으로 보면 마치 경주 양동마을에 들어온 느낌이라 할까.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도봉서원

도봉서원동산(東山) 김명윤(金命胤)을 배향하는 상산김씨 문중서원이다. 군집을 이루고 있는 한옥군은 도봉서원 영역과 상산김씨 종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원의 영역은 정상부에 있고, 종가의 영역은 서원의 아랫부분인 구릉의 허리부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서원은 원래 사당 영역과 강당 영역 등 크게 두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공간은 담장으로 둘러 구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당 영역은 서원에서 배향하는 인물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의 의례가 행해지는 곳이며, 강당 영역은 강학이 이루어지는 강당과 유생이 머무는 재숙소인 동재·서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봉서원 역시 크게 사당 영역과 강당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서원의 일반적인 공간 구성 방법과 유사하다. 하지만 종가가 서원에 접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도봉서원은 좌측(서쪽)에 사당 영역이, 우측(동쪽)에 강당 영역이 병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먼저 사당 영역에는 동산 김명윤의 위패를 봉안한 충현사(忠賢祠)를 중심으로 정면에 경묘문(敬庙門)을 두었고, 그 일곽을 담장으로 쌓아 완성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충현사

충현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범적인 사당의 평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정면의 툇칸은 다른 구조물 없이 비워져 있고, 중앙칸과 배면 툇칸은 튀어져 있어 한공간인데, 바닥에는 마루를 놓았다. 마루 중앙부에는 교의와 제사상이 놓여 있고, 교의 위에는 동산 김명윤 선생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가공한 석재로 바른층으로 쌓은 기단석 위에 다듬은 초석을 올리고 둥근 기둥을 세웠다.

건축 형식은 이익공 형식이며, 상부가구는 도리가 다섯 개가 있는 5량구조이다. 지붕은 연목과 부연이 있는 겹처마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충현사에는 단청이 되어 있는데, 단청은 위계가 높은 건물, 즉 궁궐이나, 사찰·서원·향교·사당·정려각 등에만 허용되는 고급 마감 기법이다. 경묘문은 1칸 규모의 협문으로 충현사의 정면에 있다. 경묘문에도 단청이 시문되어 있다.

강당 영역은 도봉서원(道峰書院)과 숙사재(肅事齋)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강당에 해당하는 도봉서원 건물은 현재 제향의 공간과 제관들이 묵는 숙소, 회의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강학의 기능이 사라진 조선 후기 문중서원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강당의 영역은 남향한 강당을 중심으로 동쪽 앞에 숙사재가 ㄱ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정면에는 서원의 정문인 입도문이 있다. 강당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1.5칸이며, 방의 구성은 서쪽으로부터 온돌방 1칸, 대청 2칸, 온돌방 2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청을 중앙에 두고 양쪽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中堂夾室)형이다. 현재의 강당이 중건되기 전에는 1903년에 건립된 6칸의 도봉서당이 있었는데, 온돌방 2칸, 대청 2칸, 온돌방 2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도봉서원 도면

강당의 기단은 모르타르로 마감되어 있으며, 초석은 가공초석을 사용하였다. 기둥은 두리기둥이며, 건축형식은 이익공형식이다. 상부가구는 도리가 다섯 개 있는 5량가 형식이며, 부연이 있는 겹처마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숙사재는 정면 3칸, 측면 1.5칸이며, 온돌방 2칸과 부엌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석은 모르타르로 마감되어 있고, 각기둥을 올렸다. 장혀수장집이며, 상부가구는 간단한 3량가 형식이다. 지붕은 홑처마 우진각 지붕이며, 기와는 시멘트모르타르 기와를 올렸다.

강당의 정면에는 사주문인 입도문(入道門)이 있다. 입도문은 서원의 정문으로 정면 측면이 1칸 규모이며, 배면에 대문이 달려 있다. 초석은 콘크리트로 만들었고, 정면의 초석은 팔각형 장주초석 모양으로 만들어 놓았으며, 기둥은 원기둥이 사용되었다. 건축 형식은 초익공형식이며, 지붕은 부연이 없는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단청이 시문되어 있다.

도봉서원은 중요한 시설인 사당과 강당은 일반 서원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부속건물의 경우 형식이나 규모에서 과감히 축소 내지 생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문 입도문을 중층 문루 대신 사주문으로 대신한 점, 내삼문에 해당하는 경묘문을 3칸으로 하지 않고, 1칸 협문으로 구성한 점, 동재에 해당하는 숙사재만 있고 서재가 없는 점 등이 그것이다.

또한 제향에 사용하는 생단·관세위·석등 같은 부속시설이 생략되었고, 더욱이 서비스 공간인 고직사 대신 종가가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사당과 사당에 이르는 문인 입도문과 경묘문에 단청을 하여 그 위계를 유지하고 있다. 거주 공간이 아닌 부속건물인 대문 등에서 규모와 양식 면에서 축소되거나 간략화되면서도 그 높은 위계는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도봉서원상산김씨 문중을 대표하는 건축물이자 석산마을을 대외에 드러내는 상징적인 건축물이기도 하다. 최근에 대대적인 보수를 하면서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지만 건축적 특징으로는 마을 뒤편에 위치한 구릉상에 자리잡아 대외적으로 적극 열려 있는 외적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핵심 건물인 사당과 강당은 기존의 서원 양식을 따르고 있는 반면 부속건물에서는 과감한 축소와 생략을 하면서도 그 양식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