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 자는 치재(致載), 호는 농아(聾啞). 이만형의 2남이다. 어릴 때부터 자율적인 학습태도로 공부하므로 주위 사람들이 범상한 사람이 아니라고 평을 하였고, 밖으로는 중후하고 안으로는 민첩하다는 평판이 있었다. 부지런한 학행을 통해 과거에 응시한 적은 있었으나, 곧 뜻을 바꾸어 향리에서 부모를 봉양하면서 모범적인 일상활동을 하였다. 이원조가 쓴 『농아...
-
조선시대의 선비. 본관은 재령. 자는 사영(士英), 호는 묵인당(黙忍堂). 할아버지는 이태형, 아버지는 이용이다. 진주 초문리에서 출생하여 일찍이 유학을 바탕으로 하여 학행과 덕행에 힘써 당시 향리에 이름이 났으며, 이것은 그의 행장에 있는 자질이 청아하고 선을 즐기며, 시기를 멀리하는 수행에 전념함이라는 기록에서 볼 수 있다. 또 제자에 대한 공부가 엄격하고 제자의 능력과 적성에...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재령. 자는 사영(士英), 호는 남계(南溪). 아버지는 이희만이다. 어릴 때부터 큰 뜻을 품고 강개하고 대범한 면모를 갖추었더니 1592년 임진왜란 때 아우인 이분, 종제인 이홍훈과 더불어 곽재우를 따라 화왕산성에 들어가 왜적에 대항하였다. 또, 이순신을 따라 바다에서 싸워 군공을 세웠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3「충의조(忠義條)」에 이름이 올랐다....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 자는 달후(達厚), 호는 갈모당(葛茅堂). 갈암 이현일(李玄逸)[1627~1704]의 종손이다. 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하였으며, 성리학에 뜻을 두고 깊이 연구하였다. 외삼촌인 모계처사 조석기(曺錫基)와 광양의 김성탁으로 부터 갈암 이현일의 학문을 배웠다. 말년에는 자기의 방에 갈모(葛茅)라는 문자를 붙이고 끝까지 학문에 정진하였다. 특히 대학의 논...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재령. 자는 대래(大來), 호는 청사(淸榭). 할아버지는 이현근, 아버지는 이정규이다. 갈암 이현일(李玄逸)[1627~1704]의 배소 광양에서 이현일에게서 수학하였고, 당시의 많은 지식인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또한 시와 예절에도 많은 관심이 있었다는 사실이 그의 행장에 나타나 있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인물조(人物條)」에 이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재령. 자는 재숙(載叔), 호는 청계(淸溪). 증조할아버지는 이중광, 할아버지는 이현재, 아버지는 이명규이다. 1681년에 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하여 영조 병오년에 문과에 급제한 후 예조좌랑에 올랐다. 관직에서 물러나서는 향리인 진주에서 뜻있는 학우들과 학문을 연마하고 제자를 가르치며 여생을 보냈다. 특히 향약을 수립하는 등 미풍양속을 선양하는데 심혈을...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재령. 자는 경현(景顯), 호는 행정(杏亭). 할아버지는 이간, 아버지는 이유성이다. 어머니 이씨부인은 현모양처로 그 행실이 『진양지(晋陽誌)』에 잘 나타나 있다. 6세와 9세에 부모를 여의고 외삼촌 이대기 아래에서 품행이 단정하고 영리한 소년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성장하였다. 꾸준한 수행의 과정을 거쳤으며, 향시에 합격한 후에 향리인 진주에 머물면서 지인...
-
조선 후기의 효부. 본관은 재령. 이중광(李重光)의 딸이며, 한시회(韓時晦)의 부인이다. 시부모를 섬기는데 지극한 효성으로 하였다. 시부모가 돌아가자 친정으로 와서 부모를 섬김에 또 효성을 다하였다. 나이 70이 되었어도 의복과 음식을 친히 마련하였으며 부모가 돌아가자 3년상을 치렀다. 숙종 대에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복호(復戶)를 주고 숙부인(淑夫人)을 증여하였다. 『진양속지(晋...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재령. 자는 경휘(景輝), 호는 행와(杏窩). 할아버지는 이간, 아버지는 이유성이다. 이중광(李重光)은 그의 아우이다. 어머니 이씨부인은 현모양처로 『진양지(晋陽誌)』에 그 행실이 잘 나타나 있다. 어린 시절에 부모를 여의고 외삼촌 아래서 성장하며, 성실하게 학문을 익히고 실천하였다. 유일(遺逸: 재야의 어진 선비)로 천거되어 재랑(齋郞)을 제수 받고 군...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재령. 아버지는 이태로(李台老)이다. 하응림(河應霖)의 아내로 일찍이 남편을 잃고 시아버지를 홀로 봉양하며 살았다. 늘 남편의 후사가 없는 것을 한탄하다가 남편의 기일을 맞아 제사를 지내고 곡을 하고는 자결하였다. 효열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旌閭)를 받았다. 『삼강록(三綱錄)』에 실렸고 『진양속지(晋陽續誌)』권3「열녀조(烈女條)」에도 이름이 올랐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재령. 아버지는 이덕관이다. 영조 대 무과급제이후 전중시어사, 사헌부 감찰, 웅천군수, 기장군수 등의 관직을 거쳤다. 부임하는 지역마다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신망을 받았다. 그의 행장에는 ‘임기가 되어 다른 곳으로 떠나려 하자 백성들이 길을 막고 머물기를 원함’이라고 쓰여 있어 지방관으로서 모범적인 면모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
-
조선시대의 선비. 본관은 재령. 자는 낙천(樂天), 호는 송재(松齋). 정랑(正郞) 이세후(李世垕)의 후예로, 할아버지는 이홍필, 아버지는 이동연이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학문에 진력하였다. 향리에서 조용히 수행하고 학문을 연마하는 선비로 예의범절이 뛰어나 주위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유행조(儒行條)」에 이름이 올랐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재령. 자는 이문(以聞), 호는 제헌(霽軒). 성재(誠齋) 이예훈(李禮勛)의 후예로, 할아버지는 이강, 아버지는 이중복이다. 어버이가 병들었을 때 변을 맛보아 가며 보살피고, 하늘에 쾌차를 빌었다. 상을 당했을 때에는 여묘에서 제를 마쳤다. 이러한 행실로 인해 향리에서 유학의 실천이 우수하다는 평을 들었다. 특히 이형의 행장에는 ‘품성이 강직하고 행동이 바...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재령. 자는 백건(伯建). 할아버지는 이종이고, 아버지는 이희억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가동(家僮)을 거느리고 화왕산성 진지로 달려가 군자감봉사(軍資監奉事)에 제수되어 왜적에 대항하였다. 『진양속지(晋陽續誌)』권2「인물조(人物條)」에 이름이 올랐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양. 자는 진백(晉伯), 호는 태계(台溪). 대사간 하결(河潔)의 후손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에 급제하였고, 163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에 제수되었으나 부모봉양을 이유로 취임하지 않았다. 1636년 병자호란이 터지자 의병장에 추대되어 상주지방에 이르렀을 때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성태동의 집으로 되돌아왔다. 효성이...
-
조선 전기의 선비. 본관은 진주. 자는 자상(子常), 호(號)는 송강(松岡). 안주목사 하우치(河禹治)의 증손이고, 아버지는 생원(生員) 하위보(河魏寶), 어머니는 사천이씨(四川李氏)이다. 아내는 참의(參議) 정륜(鄭綸)의 딸 진주정씨(晋州鄭氏)이다. 어린 시절부터 성리학에 전념하였을 뿐 아니라, 부모 섬기는데 효성이 지극하여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어머니 상(喪)을 당하여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