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에 있는 마을....
-
검암리는 마을 주변에 마을을 상징하는 검은 바위 3개가 있어서 검암리라 부르고, 바위 3개가 있다하여 ‘삼암리’라고도 한다. 운문은 지형이 구름가운데로 학이 나는 형국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운문을 훈을 따서 부르면 구름문이 되므로 통칭 발음상 줄여서 굴문으로 들리고 또 그렇게 부르고 있다. 학은 예로부터 길조이며 부와 귀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왔다. 지금도...
-
금곡면은 진주시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면(面)으로, 고성군, 사천읍 등과 경계를 하고 있다. 금곡면 소속의 검암리는 동쪽으로는 가봉리, 서쪽으로는 차현마을, 북쪽으로는 송골리, 남쪽으로는 음정마을과 경계를 하고 있으며, 4개 마을의 가운데가 운문마을이다. 1911년 금동어면(金冬於面)[현재 검암, 가봉리]과 송곡면(松谷面)[현재 송곡리, 정자리]으로 분리되어 있던 것을...
-
비교적 도로가 잘 포장되어 있으며, 마을 전체에 경지정리를 잘 하여 기계화 영농이 가능한 지역이다. 벼농사를 위주로 경작하며 과수재배도 활발한 편이다. 호박, 오이, 수박, 배, 단감 등과 유기농법으로 생산되는 깻잎. 오이. 토마토. 딸기 등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
-
마을 내에 검암초등학교가 있었으나 학생 수의 감소로 폐교가 되었고, 현재는 면소로 통학하고 있다....
-
(1) 동제 검암리의 마을제사는 제명(祭名)을 동신제(洞神祭) 혹은 동제(洞祭), 목신제(木神祭)라 부른다.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체(神體)는 마을의 세 곳에 있는 ‘느티나무’지만, 본래는 검암초등학교(현재 폐교) 뒤에 있는 ‘백일홍’도 마을 신앙의 대상이다. 마을 입구, 마을의 중앙마당, 마을 서쪽의 수령 500년 정도의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매년 음력 정월 초 3일에...
-
(1) 영모재(永慕齋) 운수당 하윤의 재실이다. 본래 이곳에는 운수당(雲水堂)이 있었는데, 후손들이 그 터를 찾아서 영모재를 지었다. 인근에 운수당 하윤의 묘소가 있으며, 묘소에 세운 비석은 우리나라의 비석중 가장 큰 비석으로 알려져 있다. 묘소는 500년 동안 단 한 번도 보수를 하지 않을 정도로 잘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데, 최근에 땅꾼들에 의하여 무덤 일부가 파손되었...
-
(1) 상포계 검암리 운문마을에는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지는 상포계(喪布契)가 있다. 상포계란 마을 내에 초상이 났을 때 부의(賻儀)를 하기 위한 조직으로, 운문마을에는 마을 사람 10여명 정도로 조직된 상포계가 여럿 난립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1990년대 중반에 이를 모두 통합하여 하나의 상포계로 조직하였다. 내부 규약으로는 계원들은 초상 기간 중 반드시 1일 이상...
-
...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있는 마을. 1914년 진주군 성을산면(省乙山面) 장지동(長芝洞)·죽곡동(竹谷洞)·성산동(省山洞)의 일부를 합하여 죽곡리(竹谷里)라 하였다. 죽곡리라는 지명은 대나무가 많은 지역이라는 의미이며, 원래는 ‘대시이리’라 불렀다고 한다. 마을 사람의 성씨 분포는 거의가 김해김씨인 집성촌으로, 대대로 양반이 많이 살았다고 하며 마을 주...
-
·장재(長財) : ‘부자마을’이라는 뜻에서 장재실이라고 불린다. 지혜로운 사람들이 많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장지(長智)라고도 불렀는데, 서기(瑞氣)로운 징조가 비친다, 선하고 신비함이 많다는 뜻이 있는 지초 지(芝)로 바꾸어 쓰기도 했다. 그러다가 1990년에 마을 이름을 바꾸면서 마을 총의에 의하여 다시 옛날 이름인 장재실로 부르게 되었다. ·천금산(千金山) : 장재마을을 감싸...
-
삼베가 한반도에 들어온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미 삼국시대의 칠(漆) 공예품이나 신발 등에 사용되었고, 『삼국사기』에는 한가위에 베짜기 경쟁을 했다는 기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서 면(綿)이 일반화되기 전에는 삼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직에 대한 기술은 이미 신라 때부터 크게 발달하여 후대로 오면서 30승포(升布), 40승포 같은 극세포(極細布)...
-
남악서원(南岳書院) : 신라의 김유신(金庾信) 장군 및 최치원(崔致遠), 설총(薛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죽곡리 817-1번지에 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호이다. 남북 자오선 상에 솟을대문과 서원, 사당 건물이 일직선에 배치되어 있는데, 서원의 좌우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동·서재(東·西齋)가 있다. 서원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오량 구조 팔작...
-
...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가방리에 있는 마을. 가방리가 속한 금산면은 조선 전기에 진주목 동면(東面)에 속하였으며, 그 아래에 금산리(琴山里)·대여촌리(代如村里)·월아미리(月牙彌里)·조동리(槽洞里)가 속해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대여촌리·월아미리는 금산리에 합하여 금산리·조동리라 하였고, 1864년(고종 1) 이후 금산면·대여촌면·조동면이 되었으며, 1914...
-
마을에서는 비닐하우스 농사를 주로 지으며 가장 많이 생산되는 작물은 고추이다. 마을 내에는 대단위 고추재배 단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꽈리고추, 청양고추, 피망 등이 주로 재배되는데, 전국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
·갓배이 : 갓이라는 뜻으로, 예부터 이 마을에 갓을 쓴 사람들이 많이 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60~70대 사람들은 아직도 갓배이라 부른다. ·남성 : 본래 대여촌면의 지역이다. 1914년 지방행정구역의 통폐합으로 금산면 가방리에 통합된 마을이다. ·검당골[黔堂谷] : 남성리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검당골못 : 검당골 마을 앞에 있는 못이다. ·기동(基洞) : 남성마을 북쪽...
-
(1) 금산동약(琴山洞約) 임진왜란이 끝나고 난 후 조선사회는 모든 면에서 회복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상처를 입게 되었다. 특히 주전장이 되었던 경상도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피해가 막심했으며, 진주지역도 두 차례에 걸친 진주성전투로 그 피해가 매우 컸다. 특히 극심한 경제적인 혼란은 당시 조선사회에 새로운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것은 종래의 양반지배제도에 변화가 발생한...
-
·임천서원(臨川書院) : 관방마을 중앙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조 숙종 28년(1702)에 신암(新庵) 이준민(李俊民), 성재(誠齋) 강웅태(姜應台),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 창주(滄州) 하증(河憎), 조은(釣隱) 한몽삼(韓夢參)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었으나, 고종 때 대원군의 서원 혁파로 훼철되었다가 1937년에 복원되었다. 임천서원에 배향된 이준민은...
-
·동제 : 가방리의 동제는 약 10년 전쯤에 사라지고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동네 어른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동제의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례를 지내는 날은 섣달 그믐날이었으며, 제관을 선출하여 수삼일 전부터 목욕재계하며 심신을 정화시겼다. 마을로 들어오는 두 군데 입구의 큰 나무 아래 돌을 쌓아두고 그 앞에서 제사를 지냈으며, 제사경비는 마을 사람들의 추렴으로 충당했...
-
...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에 있는 마을. 단목마을은 진주시 북쪽 대곡면 단목리에 위치하고 있다. 단목리 안에는 단목(丹牧)·지내(池內)·신흥(新興) 등 3개 자연마을이 속해 있는데, 모두 진양하씨(晋陽河氏)들의 집성촌으로 현재 약 120호의 마을 주민 중 70% 정도가 하씨이다. 마을의 가장 중심부에는 진양하씨의 시조인 하공진(河拱辰)의 위패를 모신 세덕사...
-
·다리목 : 옛날 진주~의령 간을 연결하는 길의 큰 다리 때문에 생긴 지명이다. ·숲 : 단목마을 입구에 수백 년 된 물버들나무가 있었는데, 1921년 진주~의령 간 지방도가 개통되면서 숲이 나뉘어 안숲과 바깥숲으로 부르고 있다. 안숲은 1952년에 단목초등학교가 설립되면서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학교 연못을 중심으로 하여 고목이 된 물버들 10여 그루가 보존되고 있다. 바깥숲은...
-
-마을의 인적 구성- 『세종실록 지리지』에 소개된, 진주 토성(土姓)의 하나인 진양하씨의 집성촌인 단목에 언제부터 하씨들이 모여 살았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마을 사람들은 하공진의 13세손인 하기룡(河起龍) 때부터라고 알고 있다. 하기룡은 15세기 중엽의 인물이니 단목마을의 역사는 600여년 정도가 되는 셈이다. 현재 진양하씨는 3개의 파가 있는데, 단목에 사는...
-
조선시대 진주의 읍지인 『진양지(晋陽誌)』에서 단목마을에 대해 “토지가 척박하고 가뭄이 자주 든다. 사족들이 많이 거주하여 관직자가 끊이지 아니하였고, 마을의 풍습은 시서(詩書)를 숭상하고 효우(孝友)를 돈독히 한다”고 평가할 정도의 전형적인 반촌(班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토지가 척박하고 가뭄이 자주 들었다고 하였는데, 이 문제는 단지공 하협이 지내에 천방사업을 통해...
-
예전에는 종중의 종계(宗契)가 있었으나 지금은 열리지 않고, 대신 음력 4월 8일에 종목회(宗睦會)를 열어서 효자. 효부를 표창하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효행심을 진작시키려는 행사라고 한다. 마을제사는 지금은 지내는 마을이 없지만, 지내마을에서는 약 70여년 전까지만 해도 마을 앞 당목에서 거리제를 지냈다고 하나, 당목이 벼락을 맞은 이후로 중지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
(1)고문서류 단목마을에는 동산문화재로서 진양하씨 가문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중요한 고문서들이 전해지고 있다. 최근에 단목리와 금곡면 운문리에 대대로 살고 있는 진양하씨 소장의 고문서들이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하는 『고문서집성』에 수록되었다. 2000년 대곡면 단목리 창주 후손가 소장 고문서를 『고문서집성』47~48권으로 발간한 것을 시작으로, 금곡면 운문리 진...
-
단목마을에 내려오는 구비전승으로는 「엄마다리」·「의적 강목발과 하백립」 이야기 등이 전승되어 오고, 지내마을에서는 단지공의 종가터를 고를 때 생겼다는 「해기터」 등이 전승되고 있다....
-
...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에 있는 마을. 문산읍은 조선시대에 진주목 동면(東面)이라 하였으며, 법륜리(法輪里)·굴곡리(屈谷里)가 소속되어 있다가, 조선 후기에 이를 합하여 조동리(槽洞里)라 하였다. 다시 갑오경장 때 문산면(文山面)이 되고, 1914년 4월 1일 진주군 문산면·갈곡면(葛谷面)과 조동면(槽洞面)·이곡면(耳谷面)·송곡면 (松谷面) 각 일부 등을...
-
·관정(官井) : 지금의 성당터는 본래 조선시대 역(驛)이 있었던 장소로, 그 안에 물맛이 좋은 우물이 있었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관정’이라고 하였다 한다. 동네사람들 중에는 지금도 소문리를 관정마을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성당골 : 현재 문산성당이 있는 곳으로, 1905년경에 천주교 문산교회가 설립된 후부터 그 부근을 성당골이라 하였다. ·장터 : 예전의 문산 장날은 주위...
-
(1)소문리와 소촌역 문산읍의 소문리는 조선시대에 소촌역(召村驛)이 있었던 곳이다. 『여지도서』의 경상도 진주목 역원조(驛院條)에 의하면, 역의 책임자로 본래 역승(驛丞)이 있었으나 나중에 찰방(察訪)을 두었다고 한다. 찰방은 조선시대 각 도의 관찰사에 소속되어 도로의 역참(驛站)을 관할하던 종6품의 관직자로, 일정한 구간의 간선도로를 단위로 찰방 또는 역승을 두어 이를...
-
예부터 진주지방에서는 기우제 행사의 하나로 줄다리기를 많이 행하였는데, 문산읍 소속 8개 이의 어느 마을 할 것 없이 소속 전 마을이 참가하여 실시한 줄다리기가 있었다. 이 줄다리기는 승부를 가리기 위한 것이 아니고 기우제라는 의식이 더 중요하한 몫을 차지하고 있으며, 시행하는 날짜도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날을 정하여 실시하는 행사이다. 지금은 행하여지지 않지만 한...
-
...
-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마성리에 있는 마을....
-
마성이란 지명은 북마성마을에서 바라다 보이는 산이 말(馬)의 등처럼 생겼다 하여 마성이란 지명을 가지게 되었고, 일명 ‘마르등’이라고도 부른다. 또 다른 이름으로는 산에 매화나무가 많다고 해서 ‘매껼[매결(梅結)]’이라고도 하고, 예부터 보리농사를 주로 짓고 그 생산량이 많다 하여 ‘매끌[맥결(麥結)]’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지금도 이 마을에는 맥주보리 농사를 많이 짓고...
-
조선시대 내내 상사리(上寺里)로 부르다가 1906년 칙령 제49호에 의해 잠시 함안군으로 이속되기도 하였다. 1914년 사봉면이 되고 그 아래 6개의 행정리(行政里)를 가지게 되었다. 사봉면에 소속된 마성리는 북마성마을과 남마성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북마성마을은 현재 진양 정씨들이 집단으로 모여 사는 집성촌으로, 마을의 70호 중 타 성씨는 없다고 한다. 본래...
-
북마성마을은 마을 앞으로 사봉면과 지수면을 연결하는 국도가 지나고 있고, 지수면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주거지가, 왼쪽으로 금평뜰이 펼쳐져 있다. 마을 앞과 뒤는 산으로 막혀 있으며, 동네에서는 현재 당산나무가 있는 산을 안산(案山)으로 부르고 있다. 좌청룡으로는 어봉곡, 우백호는 계곡산이며, 진산은 돌구산이라 하는데, 돌구산은 북마성, 신당, 계곡, 필동 등 이웃하고...
-
(1) 동제 북마성마을에는 오랜 전승을 가진 동제가 있었다. 동제 혹은 당산제, 산신제 등의 이름으로 부른 상당신(上堂神)을 모시는 제의(祭儀)와 마을 입구의 탑(塔)을 모시는 하당신(下堂神) 제의가 동시에 시행되었으나 지금은 마을제사를 지내지 않는다고 한다. 마을제사가 중단된 이유는 마을의 젊은 사람들이 동제의 무용론을 내세워 지내지 말 것을 주장하던 중, 2003년의...
-
...
-
경상남도 진주시 성지동에 있는 골동품 거리. 성지동은 진주성과 함께 진주시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법정동으로는 본성동(本城洞)·남성동(南城洞)·인사동(仁寺洞)의 3개 동, 13개 통, 77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네 안에는 진주성·국립진주박물관·골동품거리 등과 실크전시장·종합사회복지관·청소년수련관 등 역사 유적지와 문화시설이 공존하고 있는 진주시의...
-
(1) 인사동 골동품거리 ○ 역사 : 골동품거리는 광진당에서 보건소까지의 골목을 말한다. 본래는 사람이 살던 평범한 마을이었으나 골동품가게들이 많이 생기면서 골동품거리가 되어, 진주의 볼거리를 만들고 관광객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진주시에서 골동품거리로 지정하고 운영하고 있다. 골동품거리가 생긴 것은 1970년대 후반경 지금의 봉선당 주인과 진보당 주인이 인사동에 골동품가게...
-
○ 진주성(晋州城) : 지금의 진주성은 삼국시대에는 거열성, 통일신라시대에는 만흥산성이라 하다가 고려시대 이래로는 촉석성 또는 진양성이라 하였다. 1963년 1월에 사적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진주성의 첫 축성 내력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으나, 초기에는 토성이었던 것을 고려 우왕 5년(1379)에 석성으로 개축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다. 조선 선조 24년(1591)에는...
-
...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원내리에 있는 마을. '수곡(水谷)'이란 지명은 “파도가 산꼭대기를 철철 넘쳐흐를 정도로 물이 많은 곳”이란 뜻이다. 수곡면의 중심에는 ‘한새미[大泉(대천)]’라는 우물이 있는데, 한새미에서 나온 물이 수곡면 일대의 원천(源泉)이 되었다 해서 지명을 무실[수곡(水谷)]이라 하였다. 현재 수곡면 원외리에는 신촌·광명·원외 마을이 있고, 원내리에는 원...
-
원내리의 생업도 본래는 벼농사가 위주였으나 지금은 거의 대부분의 농가가 딸기 재배를 생업으로 삼고 있다. 현재 수곡면 일대는 전국적인 딸기 생산지로 이름이 높으며, 그 이름에 걸맞은 질 좋은 딸기를 생산하고 있다. ○ 딸기 재배의 시작 : 1970년대 말 당시 수곡면에 살던 김병곤씨가 처음 딸기 종자를 가져와 심기 시작했다고 하며, 1980년부터 주민들의 소득증대사업의...
-
○ 고산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6호) 수곡면 원내리의 한산사(寒山寺) 보운전(寶雲殿) 안에 봉안된 비로자나불로, 우견편단의 법의와 왼쪽 어깨에 흘러내린 법의 자락의 무늬가 있고, 두 손을 감아진 모습이 전형적인 비로자나불좌상이다. 눈썹은 둥글게 표현했으며, 입은 전체 얼굴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편이고, 전체적인 얼굴 윤곽은 직사각형에 가깝다. 상·중·하의 3...
-
원내리에도 본래는 전래되어온 동제가 있었으나, 1964년 미신 타파란 명목 하에 중단되었다. 대신 동제의 개념은 아니지만 새로운 형태의 제의가 마을에서 생겼는데, 동네의 경로당 주최로 매년 정월 보름날 경로당의 무사안녕과 소속 회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간단한 고사가 진행되고 있다. 경비는 경로당 회원들의 회비로 충당되며, 명태·오징어·술·과자 등의 간단한 제물을 준비하여...
-
...
-
경상남도 진주시 중앙동에 위치한 재래시장. 진주시청에서 서북 방향에 자리 잡은 중앙동은 이름 그대로 진주시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시장을 비롯하여 지하상가, 각종 금융기관, 의료시설 등이 있고,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구종로거리 등으로 수많은 유동인구를 지닌 진주의 경제·문화 중심지역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의 중앙동은 1997년 평안동·동성동·장대동·수정동의...
-
중앙동에는 진주시의 중심가답게 각종 단체들과 금융기관들이 밀집되어 있다. 그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안은 회원수이다. (1) 단 체 ·통장협의회(15) ·바르게살기위원회(21) ·새마을협의회(14) ·새마을부녀회(12) ·여성자원봉사대(14) ·내고장위원회(11) ·자연보호협의회(7) ·자원봉사협의회(10) ·청소년선도위원회(10) ·자율방범대(22) ·주...
-
우리나라의 장시는 15세기 후반 전라도지방에서 처음 성립된 후 16세기에 전국적인 개설을 보게 되었고, 17세기 중엽 이후 수적인 면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당시 대동법의 실시와 동전 유통의 확대, 농업의 상품작물 재배 증가 등과 함께 장시의 개설지역도 교통의 요지나 물화집산지가 아닌 외진 곳까지도 확대되었다. 18세기 중반 이후 장시가 5일장화 되면서 각 지방에서는 농민들이 농업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