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0469 |
---|---|
한자 | 祈子俗 |
영어음역 | gijasok |
영어의미역 | favoritism towards boys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하종갑 |
아기를 갖지 못하는 집안에서 잉태를 위해 신령한 힘을 가진 대상물에 치성을 드리던 풍속.
아이를 얻기 위하여 치성을 드리는 일은 단순한 것이 아니어서 치성을 드리는 사람, 시간, 장소, 기간, 그리고 치성의 대상과 방법이 매우 다양하였고, 잉태를 한 뒤에도 딸을 아들로 바꾸는 전녀위남(轉女爲男) 등 다양한 주술이 행해져 왔다.
진주지역의 경우, 치성을 드리는 사람은 아기를 갖고자 하는 당사자가 제일 많았다. 그 밖에 할머니나 외할머니, 부부가 함께 하기도 하였고, 무당이나 마을에서 산파역할을 하는 사람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치성을 드리는 시간은 대부분 자정에서부터 새벽까지의 시간이었고, 장소는 바위, 계곡, 절, 신당, 강, 장독대 등 다양하였다.
치성을 드리는 방법은 아이의 출생과 성장, 길흉화복, 수명을 좌우한다고 믿는 삼신을 대상으로 제물을 차려 놓고 손을 비비거나 절을 하며 소원을 빈다. 제물은 쌀, 밤이나 대추, 미역, 명태, 정화수 등을 상에 차려 놓고 빈다.
또 잉태를 위한 여러 가지 주술(呪術)도 동원되었다. 진주지역에서는 아기를 낳은 산모의 속옷을 훔쳐와 입었는데 아이를 낳을 때 피가 묻은 것이 더 효과가 있다고 믿었다. 또 뽕나무에 대롱대롱 매달린 호박을 따다 삶아 먹으면 아이를 가진다는 속설도 있었다.
진주시 대곡면에서는 수탉의 생식기를 먹고 수평아리가 될 달걀을 골라 달 수대로 삶아 먹었다. 명석면의 경우는 소의 낭심을 구워 먹는 풍속이 있었고, 대평면에서는 아기를 낳은 여인의 월경포로 베잠방이를 해 입고, 맏상제의 상복을 떼어와 몸에 지니거나 상여에 두른 붉은 베로 옷을 해 입으면 귀한 자식을 얻는다는 속설도 전해져온다.
또 정월 대보름날 부잣집 마루 밑에 부부가 숨어 들어가 교합(交合)을 하면 보름달의 주력과 부잣집의 주력이 스며들어 귀한 아들을 얻을 수 있다는 풍속이 전래되고 있다. 이밖에 입춘과 우수 즉, 생기가 되살아나는 절기 날 부부가 술을 한잔씩 마시고 교합을 하는 것도 효험이 있는데, 이때 여자의 머리를 동쪽으로 두는 것이 좋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