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676
한자 有線放送
영어음역 yuseon bangsong
영어의미역 cable broadcasting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원숙경

[정의]

라디오 방송이나 레코드음악을 유선으로 각 가정에 송신하던 것이 텔레비전 또는 케이블 텔레비전으로 발전한 방송 형태.

[개설]

유성방송은 처음 농촌에서 상호 연락을 취하거나, 도시의 일부 지역에서 가정이나 다방 등을 연결하는 레코드 방송(음악방송)을 하던 것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변천]

1961년 8월 24일 유선방송수신관리법(有線放送受信管理法)이 제정되었는데, 라디오 방송을 공동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 보급 운동이 한창 성행했던 시기여서 유선방송은 라디오 유선방송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1960년대 말, 텔레비전 수상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난시청을 해소하기 위해 소규모의 TV 유선방송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정부에서는 1986년 2월 31일에 유선방송관리법을 제정하였고, 본격적인 다채널 서비스 보급을 위해 1991년 12월 31일에 종합유선방송법(綜合有線放送法)을 제정하였다. 1993년에는 전국적인 상용 서비스를 겨냥해서 프로그램 사업자와 전송망 사업자를 선정한 데 이어, 1994년에는 51개사(社)의 방송국 운영자를 허가하였다. 그리고 1995년 3월에 종합유성방송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유선방송의 개념이 변하고 있다. 유선망을 통한 통신서비스가 허용됨에 따라 기존의 방송 체제를 벗어나 통신서비스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모뎀을 비롯하여 케이블을 통한 통신 장비 등을 개발함으로써 순수한 개념으로서의 유선방송의 시기는 이미 지나가고 있음을 반증해 준다. 게다가 케이블 방송서비스를 유선이 아닌 무선방식으로 허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케이블방송이 유선방송이라는 기존 관념은 더 이상 타당하지 않게 되었다.

[현황]

진주지역에 유선방송이 도입된 것은 1960년대 말부터이다.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이 급속히 늘자, 공청업자가 생겨났는데 이것이 유선방송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공청업자들은 각 가정에 유선으로 텔레비전 방송을 보내고, 공청료(사용료)를 징수하는 형태로 운영해왔다.

현재 진주에는 금곡유선방송사(대표자 오덕환), 대성유선방송사(대표자 정연충), (주)서경네트워크(대표자 황상연), 반성유선방송사(대표자 박평식), (주)진주네트워크(대표자 최지호), 진양유선방송사(대표자 김해돌), 중앙음악방송사(대표자 박판출) 등 총 7개의 유선방송사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