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의암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719
한자 義巖謠
영어의미역 Song of Righteous Rock
이칭/별칭 이애미 노래,진주 기생 이애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박기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흥요|비기능요|민요
형성시기 17세기 이후[의암이란 명칭이 생긴 이후]
출현음 라도솔미|라솔미[라]
기능구분 유흥요
형식구분 독창 또는 제창
박자구조 4박
가창시기 심심할 때|살림살이를 할 때|유흥 분위기가 날 때
주요 등장인물 논개[의암, 이애미, 진주 기생]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논개에 관한 유흥요.

[개설]

이 노래는 본래 진주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나 세월이 지나면서 전국적으로 전파되어 전승되고 있다. 전파 범위가 확장된 만큼 노랫말도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진주 기생 의암이가···’로 시작되는 노랫말이 가장 원형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이 노래의 정확한 발생 연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노랫말에 ‘진주 기생 의암’이라는 호칭은 17세기 논개가 순국한 바위를 ‘의암(義巖)’이라고 명명한 이후부터 생긴 것이 분명하므로 노래의 발생 시기를 그 이후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현재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았으나 진주를 중심으로 한 영남·호남 일대에서 주로 할머니들이 부른다.

[구성]

민요의 각편(各篇)에 따라 1절로 된 노래, 2절로 된 노래, 3절로 된 노래 등 구성이 다양하다. 현재 진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유흥요 중에서는 1절로 된 것과 2절로 된 것 두 가지가 있다. 대개 일반적으로 전승되는 노래는 1절로 된 노래이다. 이 노래는 가창자가 주로 여성들임에 비해서 2절로 된 노래는 남성들이 주로 불렀음을 가사의 내용으로 봐서 알 수 있다. 1절로 된 노래는 부녀자들이 반짇고리를 꺼내놓고 부르거나 여름에 시원한 나무 그늘에 앉아 부르기도 한다. 2절로 된 노래는 서로 다른 노랫말이 결합한 것으로 보이는 데 앞부분은 유흥의 자리에서 부를 수 있고, 뒷부분은 논개의 사적을 풀어놓고 자신의 처지로 시각을 돌리는 사설이 여타 의암요와 다르다.

[형식]

1절로 된 노래의 가락은 진주를 중심으로 한 인근 지역에서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가락으로 부른다. 이 노래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앞부분이 의로운 행동을 한 ‘이유(근거)’, 뒷부분이 행동의 ‘결과’를 제시하는 형식으로 느린 4박으로 부른다. 선율은 ‘라도솔미/라솔미(라)’로 전개된다.

2절로 된 노래의 가락은 1절로 된 노래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들을 수 없는 가락이다. 앞부분은 판소리 아니리와 흡사한 창법을 구사하고 있으며, 뒷부분은 1절로 된 노래와 비슷한 보통빠르기의 네 박자 가락으로 진행된다.

[가사]

진주 지역에 전승되는 1절로 된 것과 2절로 된 노래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의암요 1

순창기생 의암이는 우리나라 견지랴고

대장청정 목을 안고 진주 남강에 떨어졌네

진주기생 이애미는 만백성을 살릴라고

왜놈 천지 목을 안고 진주 남강에 떨어졌네

의암요 2

네놈이 대장청정이 아니냐

네놈이 진주 삼십 리 안에 들어만 오면

꼼짝없이 내 칼에 맞아 죽으리라

진주기생 이애미는 왜놈 장수 몸을 안고

남강물에 떨어졌네 우리집에 우러머니

나를 하나 못 성기서 자는 듯이 누웠구나

[내용]

본래 진주에서 발생한 ‘의암요’가 부녀자의 입을 타고 타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그 지역의 가락으로 바뀌어 불렀다. 그 결과 진주 지역의 가락과 다른 지역의 가락이 차이가 있다.

이 노래는 진주 지역민들이 지금도 논개에 대한 사랑을 확인시켜 주듯이 노년층에서는 잘 알고 부르고 있다. 그것은 하층민인 기생 논개가 국가를 위하여 자신의 몸을 던진 충절의 표상으로 인식되어있기도 하지만 더 나아가 반상의 구별이 없이 백성의 도리를 다해야 한다는 보편적 국민적 가치를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시민의식이 담긴 민요이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이라는 충격적 역사 앞에서 연약한 아녀자가 군림하는 지배 계층을 향해 보란 듯이 충절을 실천에 옮긴 논개의 의거를 두고, 많은 진주시민들이 공감하였고, 지금도 공감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의암요’는 문학적 의미를 가진다. 이 노래는 비록 기교가 충만하고 예술성을 확보한 노래는 아니라 하더라도 노랫말 속에 담긴 지역민의 의지는 평가 받아 마땅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