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남사림의 거목, 남명선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3195
한자 嶺南士林-巨木-南冥先生
영어음역 Yeongnam sarimui geomok, Nammyeong seonsaeng
영어의미역 Master Nammyeong, Giant of Yeongnam Confucianist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신지 경상남도 합천군
성별
생년 1501년(연산군 7)연표보기
몰년 1572년(선조 5)연표보기
본관 창녕(昌寧)

[정의]

조선 중기 영남사림으로서 남명학파를 이룬 성리학자 조식.

[한국학술사상의 양대 산맥]

조식(曺植)의 생졸년은 1501(연산군 7)~1572(선조 5)이며, 본관은 창녕, 자는 건중(楗仲)이며, 남명은 그의 호이다. 어떤 위대한 인물이 역사에 출현하는 데에는 역사적 전통과 지리적 특성이 바탕이 된다. 남명 역시 조선 초기 이후 사림파(士林派) 학자들이 형성해온 학문적 연원과,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경상우도(慶尙右道)’라는 지리적 특성 속에서 태어나 완성된 인물이다.

남명은 경상도 삼가현(三嘉縣)[지금의 합천군 삼가면] 토동(兎洞)[속칭 토꼴]의 외가에서 태어났다, 이 해 예안현(禮安縣)[지금의 안동시 예안면]에서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이 태어났다. 같은 해 같은 도에서 태어난 이 두 위대한 인물은 나중에 뛰어난 학문을 이루어 남명학파(南冥學派)와 퇴계학파(退溪學派)를 형성하여 한국학술사(韓國學術史)상 양대 산맥을 형성하였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경상좌도는 인(仁)을 주로하고, 경상우도는 의(義)를 주로 한다.”라는 말을 했다. 남명퇴계의 학문과 기질이, 지역사람들의 체질·의식구조 및 자연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힌 말이다.

[유학의 정수를 찾아]

남명은 당시의 여느 선비들과는 달리, 공부의 범위를 유교경전에만 한정하지 않고 아주 폭넓게 공부하였다. 유교경전과 거기에 따른 주석서는 물론 제자백가(諸子百家)·천문(天文)·지리(地理)·의학(醫學)·수학(數學)·병법(兵法) 등을 두루 공부하여 안목을 넓혀나갔다. 장래 세상에 크게 쓰일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였다.

젊은 시절부터 남명은 자신의 수양방법 두 가지를 마련했다. 하나는 깨끗한 그릇에 물을 가득 담아 꿇어앉아 두 손으로 받쳐 들고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은 채로 밤을 새우며 자신의 정신을 가다듬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옷띠에 쇠방울을 차고 다니면서 그 소리를 듣고 정신을 깨우쳐 자신을 성찰하는 것이었다.

남명은 일생 동안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전념하다가 72세 되던 해 지리산 아래에서 별세하였다. 사후 그에게 영의정을 추증하고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문집 『남명집(南冥集)』과 독서할 때 마음에 와 닿는 구절을 모은『학기유편(學記類編)』이 있다.

남명도 젊은 시절 과거공부를 해가다가, 실천을 위주로 한 진정한 유학으로 복귀하는 계기를 스물다섯 살 때 만났다. 남명은 공부하다가, 원나라 학자 노재(魯齋) 허형(許衡)의 다음과 같은 말을 『성리대전(性理大全)』에서 읽게 되었다. 『성리대전』은 중국 송·원나라 학자들의 성리학에 관한 중요한 저술을 총망라해 놓은 책이다.

“이윤(伊尹)[은나라의 재상]의 뜻을 뜻으로 삼고, 안자(顔子)[성은 顔, 이름은 回]의 학문을 학문으로 삼아, 벼슬에 나가서는 경륜을 펴서 업적을 이루고 초야에 있으면서는 지조를 지켜야 한다. 대장부라면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한다. 벼슬에 나가서는 아무 하는 일이 없고 초야에 있으면서는 아무런 지조도 지키지 않는다면, 뜻을 세우고 학문을 닦아 장차 무엇을 하겠는가?”

이 말에서 남명은 학문과 처신의 방향을 찾아 결심이 섰던 것이었다. 드디어 과거를 보기 위한 공부가 그릇되었음을 깨닫고 크게 부끄러워하였다.

이때부터 유학의 정수(精粹)를 공부하기에 전념하였다. 육경(六經)과 사서(四書)는 물론,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 명도(明道) 정호(程顥), 횡거(橫渠) 장재(張載), 회암(晦庵) 주희(朱熹) 등 송나라 때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들이 남긴 글을 정력을 쏟아 공부하였다. 또 공자·주염계·정명도·주자의 초상화를 그려 네 폭의 병풍을 만들어 자리 곁에 펴두고서 아침마다 절을 올리며 그 학문을 올바로 배우겠다고 마음속으로 맹세하였다.

평상적인 유학공부에서 출발하여 다방면으로 폭넓게 공부하다가, 다시 유학의 정수를 찾아 돌아왔던 것이다. 글귀의 해석이나 성리학 이론의 늪에 빠져 일생을 허비했던 허다한 고루한 선비들과는 달리, 남명의 학문은 유학의 진면목에 더욱 접근해갔다.

이렇게 학문에 힘쓰는 동안, 자신의 학문과 처신의 지표로 경(敬)과 의(義)를 내걸게 되었다. 경과 의는, 본래 『주역』에 나오는 “군자는 경으로써 안을 곧게 하고, 의로써 바깥을 바르게 한다(君子 敬以直內 義以方外)”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경은 마음의 주재자이고, 의는 모든 행동의 올바른 기준이 된다. 경과 의가 갖추어진 뒤에라야 마음이 맑아져서 모든 판단이 바르게 되고 참된 용기가 솟아나게 된다. 경과 의를 행동화하고자 하여 남명은 자신이 차고 다니던 칼에 “안에서 밝히는 것은 경이요, 밖에서 결단하는 것은 의다(內明者敬, 外斷者義)”라고 명(銘)을 새겼다. 나중에 산천재(山天齋)의 왼쪽 창문에 ‘敬(경)’자를 써 붙이고, 오른쪽 창문에는 ‘義(의)’자를 써 붙였다.‘敬’자의 곁에는 여러 옛 학자들의‘敬’자의 뜻을 논한 말 가운데에서 주요한 것을 골라 작은 글씨로 써 붙여놓고 늘 보았다. 마음으로 그 의미를 생각하면서 어떻게 하면 경의에 달통(達通)할 수 있을까 노력하였다. 제자들을 가르칠 때도 경·의의 중요함을 강조하여, 우리 집에 이 ‘敬’·‘義’ 두 글자가 있는 것은 마치 하늘에 해와 달이 있는 것과 같다. 이 두 글자의 의미는 만고의 세월이 지나도 변치 않는 것이다. 성현들이 남긴 많은 말씀들의 귀결처는 결국 이 두 글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공부를 한다면서 ‘敬’을 위주로 하지 않는다면 거짓된 것이다. 흩어진 마음을 수습하는 것이 바로 ‘敬’을 위주로 하는 공부이다”라고 역설했다.

남명의 학문은 자기수양을 위한 학문이었지, 학문을 위한 학문이 아니었다. 도덕적 인격의 확실한 완성이 남명 학문의 궁극적 목표였고, 그런 바탕 위에서 세상에 쓰이고자 하였는데, 바로‘敬’·‘義’ 두 글자에서 올바른 길을 찾았던 것이다.

남명의 제자 교육방법도 이런 데에서 출발하여, 제자들이 스스로 혼미함을 깨우치고 눈을 떠서 돌이켜 체득(體得)하게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지, 책을 붙들고 한 구절 한 구절씩 풀이해주지는 않았다.

[끝까지 사양한 관직]

남명이 37세 때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다시 전생서(典牲署) 주부(主簿)라는 벼슬을 내려 남명을 불렀다. 전생서는 조정의 제사에 쓸 소·양·돼지 등 희생을 기르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이었고, 주부는 종6품직이었다. 과거하지 않은 채 숨어 있는 사람에게 조선 중기까지 6품의 관직을 내려 부른 전례가 없었으니, 조정에서는 남명을 파격적으로 대우한 것이었다.

을사사화 이래로 바른 선비 200여명을 죽이거나 귀양 보낸 윤원형(尹元衡) 일당이 남명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하여 벼슬을 내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기들 일당의 잘못을 바른 말로 폭로하는 양심적인 선비들을 다 죽이거나 귀양 보내고 나니 민심은 흉흉할 대로 흉흉해졌다. 윤원형 일당 스스로가 생각해도 자신들의 기반이 너무나 약하다 싶었다. 그래서 초야에 묻힌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한다는 좋은 명분을 얻어 백성들의 눈과 귀를 속이기 위해서 남명에게 6품의 관직을 내려 불렀던 것이다.

남명이 만 50세 되던 1551년(명종 6), 조정에서는 다시 종부시(宗簿寺 : 왕실의 족보를 만드는 관아) 주부(主簿)의 관직을 내렸다. 산림에 묻혀 있지만, 날로 명망이 높아져가는 남명을 이용하려는 윤원형 일당의 얄팍한 수작이었다. 그런 벼슬을 남명이 받을 턱이 없었다.

그러자, 1553년 퇴계(退溪)남명에게 편지를 보내 벼슬하러 나올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남명은 끝까지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남명은 결코 국가와 민족을 잊고 자기 일신만을 깨끗하게 지키기 위해서 세상을 잊은 사람은 아니었다. 그가 끝까지 벼슬을 사양한 이유는 이러하다. 첫째, 자신이 벼슬에 나가는 것이 당시 집권 간신배들에게 어진 사람과 함께 벼슬한다는 명분만 줄 뿐이다. 둘째, 남명에게 내린 벼슬이 경륜을 펼 수 없는 중요하지 않은 자리에 불과했다. 셋째 당시의 임금들이 나라를 잘 다스려보겠다는 의지가 없었다. 넷째, 사화(士禍)로 인하여 자기의 숙부나 가까운 친구들이 화를 당하는 것을 목도했기 때문이다.

[추상 같은 을묘사직소]

남명이 만 54세 되던 1555년(명종 10), 조정에서는 남명에게 인접한 단성현(丹城縣)[오늘날의 산청군 단성면]의 현감에 제수하였다. 지금까지는 한 마디 말 없던 남명도, 나라가 되어가는 꼴을 보고는 더 이상 참지 못하였다. 드디어 입을 열어 자신이 평소 느꼈던 정치의 잘못과 부조리 등을 낱낱이 지적하여 준엄한 필치로 상소하였다. 임금인 명종이나 모후(母后)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잘못도 남명은 가차없이 지적하였다. 이 글이 유명한 「단성소(丹城疏)」로, 정식 제목은 「을묘사직소(乙卯辭職疏)」이다.

이미 산림의 처사(處士 : 학덕이 높으면서도 벼슬에 나오지 않는 선비)로서 그 비중이 높은 남명이 재야인사들의 의견과 불만을 결집하여, 그들을 대변하는 입장에서 임금을 정면으로 공격하였다. 당시의 왕권(王權)은 신성불가침한 존재였으므로, 남명의 강직한 상소는 다른 벼슬아치나 선비들로서는 꿈에서도 생각하지 못할 정도의 극언이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낮은 벼슬아치들은 아랫자리에서 히히덕거리면서 술과 여색에만 빠져 있습니다. 높은 벼슬아치들은 윗자리에서 빈둥빈둥거리면서 뇌물을 받아들여 재산 긁어모으기에만 여념이 없습니다. 오장육부가 썩어 물크러져 배가 아픈 것처럼, 온 나라의 형세가 안으로 곪을 대로 곪았는데도 누구 하나 책임지려고 하지 않습니다.

내직(內職 : 중앙관서의 관직)의 벼슬아치들은 자기들의 당파를 심어 권세를 독차지하려들기를, 마치 온 연못 속을 용이 독차지하고 있듯이 하고 있습니다. 외직(外職 : 전국 각 도, 각 고을의 관직)에 있는 벼슬아치들은 백성을 멋대로 벗겨 먹기를, 마치 여우가 들판에서 날뛰는 것 같습니다. 신이 자주 낮이면 하늘을 우러러 깊이 탄식하고, 밤이면 천장을 쳐다보고서 답답해하면서 흐느끼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대비(大妃 : 문정왕후)는 신실하고 뜻이 깊다 하나 깊은 구중궁궐의 한 과부에 불과하고, 전하는 아직 어리니 다만 돌아가신 임금님의 한 고아일 뿐입니다. 백 가지 천 가지로 내리는 하늘의 재앙을 어떻게 감당하며 억만 갈래로 흩어진 민심을 어떻게 수습하시겠습니까?

또 신이 요사이 보니, 변경에 일이 있어(왜구의 침략으로 전라도 일대가 함락된 을묘왜변을 말함) 여러 높은 벼슬아치들이 제때 밥도 못 먹을 정도로 바쁜 모양입니다만, 신은 놀라지 않습니다. 신은 이 일이 벌써 이십 년 전에 일어날 일인데도, 전하의 신성(神聖)한 힘 때문에 지금에 와서야 비로소 발발한 것이지, 하루아침에 갑자기 발발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평소 조정에서 뇌물을 받고 사람을 쓰기 때문에, 재물은 쌓이지만 민심은 흩어졌던 것입니다. 그래서 결국은 장수 가운데에서는 자격을 갖춘 사람이 없고 성에는 지킬 군졸이 없었으므로 왜적이 무인지경에 들어온 것입니다. 이 어찌 이상한 일이겠습니까?

모르겠습니다. 전하께서는 무슨 일에 종사하시는지요? 학문을 좋아하십니까? 풍악이나 여색을 좋아하십니까? 활쏘기나 말 타기를 좋아하십니까? 군자를 좋아하십니까? 소인을 좋아하십니까? 전하께서는 좋아하시는 것이 어디 있느냐에 따라서, 나라의 존망이 달려있습니다.”

조야(朝野)의 중망(重望)을 한 몸에 받고 있던 남명은, 이 상소로 인하여 한동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었지만, 이때부터 남명의 비중은 임금도 무시 못하는 존재로 성장하였다. 재야 언론의 영수가 된 것이다. 조선 건국 이후 이때까지 임금의 실정을 이 정도로 정확하고 신랄하게 지적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지리산 산천재에서]

김해 산해정(山海亭)을 떠나 삼가 토동에 뇌룡사와 계부당을 짓고 강학을 한 지 12년이 되는 해인 1561년(명종 16)에 남명은 지리산 덕산(德山)으로 강학의 장소를 옮겼다. 강학할 장소인 산천재(山天齋)를 마련하고 이런 시를 지어 달았다.

천 석들이 큰 종을 보소서!

크게 치지 않아선 소리 없다네.

어떻게 하여야 두류산처럼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을 수 있을까?

請看千石鐘 非大扣無聲

爭似頭流山 天鳴猶不鳴

천 석들이 큰 종은 남명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물을 상징하고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남명 자신이 지향하는 인간상이다. 기상이 장엄하고 포부가 원대하며 온축(蘊蓄 : 지식이나 학문을 깊이 쌓음)한 것이 많은 선비다. 워낙 큰 그릇인지라 크게 치지 않으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관직·명예·이익·여색 등에 조금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옳은 일만 해나간다. 임금이 벼슬을 내려 불러도 나가지 않고, 때를 기다리면서 국가와 백성에게 혜택을 줄 학문을 온축해 가고 있는 것이다.

곧 지리산의 만고에 끄떡 않고 서 있는 자세를 배워 자신의 지조를 지키려고 노력했고, 또 그런 지리산을 언제나 바라볼 수 있는 덕산으로 이사했던 것이다.

남명은 당시 퇴계를 중심으로 한 학자들이 성리학을 이론화하는 것에 대해서 별로 찬성하지 않았고, 실천에 바탕을 둔 학문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예순세 살 되던 해(1564년)에 남명퇴계에게 이런 편지를 보냈다.

“요즈음 공부하는 사람들을 보니, 손으로 물 뿌리고 비질하는 예절도 모르면서 입으로는 천리(天理)를 이야기하여, 헛된 이름이나 훔쳐 남들을 속이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리어 남에게서 상처를 입게 되고, 그 피해가 다른 사람에게까지 미치게 됩니다. 이는 아마도 선생 같은 어른이 꾸짖어 그만두게 하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공소(空疏)해져가는 당시의 학문 경향을 바로잡고자 하여, 학계에서 크게 영향력을 가진 퇴계에게 우리나라의 학풍을 바로잡아 줄 것을 간곡히 당부하고 있다. 내면에는 퇴계의 학문성향에 대해서도 비판하는 뜻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퇴계남명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았다. 공부를 인격 수양의 측면에서만 보면 남명의 말에 수긍할 수 있지만, 학문 연구의 측면에서 본다면 이론적인 탐구 없이는 학문 발전이 있을 수 없고, 또 한창 공부하는 젊은 사람들의 독창적이고 참신한 사고를 억제하는 나쁜 작용도 하게 되기 때문에, 퇴계남명의 말을 완전히 수용할 수는 없었다. 퇴계남명에게 답장을 보내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진정으로 학문을 좋아하여 학문을 탐구하여 발전시키려는 젊은이들의 기를 꺾어 기존의 틀 속에 우그러뜨려 넣으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게 퇴계의 주장이었다.

남명의 몇 차례 격렬한 상소에도 불구하고 임금이나 벼슬아치들이 정치를 개혁하겠다는 의지가 없었고, 또 백성을 두려워할 줄 모르고 계속 가렴주구로 백성을 괴롭히기만 했다. 백성들은 묵묵히 벼슬아치들의 말에 순종하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언젠가는 저항하고 나아가서는 한 나라를 뒤엎을 수도 있다. 역사상 많은 왕조들이 백성들의 봉기로 망했다.

그런 벼슬아치나 임금을 넌지시 깨우쳐주기 위해 남명은 「민암부(民巖賦)」, 즉 “백성이 위험할 수 있다”는 내용을 가진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인 글을 지었다. 자기가 평소에 갖고 있던 백성과 임금과의 관계를 물과 그 위에 떠 있는 배에 비유하여, 임금이나 위정자의 폐부(肺腑)를 찌르는 신랄한 풍자가 담긴 명작을 지어낸 것이다. 백성이 얼마나 무서운 존재인가를 통치자들에게 알리는 작용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작품이었다.

배가 항해할 수 있게 하는 잔잔한 물도 성난 파도가 되어 배를 뒤엎어버리듯이, 평상시에 세금을 바치고 부역에 응하며 국방의 의무를 맡아 묵묵히 나라를 유지하게 하는 바탕이 되는 백성들이, 때로는 임금을 내쫓고 나라를 뒤엎는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왜란을 걱정하며]

여느 학자들과는 달리 남명이 제자들에게 병법을 가르친 것이 나중에 나라를 구제하는 데 크게 공헌을 했으니, 의병활동을 한 제자들뿐만 아니라, 임금 곁에서 대신으로서 국난극복에 경륜을 발휘했던 정탁(鄭琢) 같은 인물이 이를 확실히 증명해주고 있다.

남명은 만 예순여덟 살 되던 1569년(선조 2), 남해안에 왜적의 침입이 잦은 것에 우려를 갖고 책제(策題 : 어떤 일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글)라는 형식의 글을 지어 제자들을 시험하였다. 이 글은 제자들에게 국방의 중요함을 고취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남명의 국방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는 글이다. 임진왜란 때 남명 제자 가운데서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구제한 인물이 많았던 것은 바로 남명의 이런 배려에서 나왔던 것이다.

남명 사후 20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명의 제자들 가운데서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 송암(松菴) 김면(金沔) 등은 의병장으로서 큰 공을 세웠고, 약포(藥圃) 정탁(鄭琢), 백곡(栢谷) 정곤수(鄭崑壽) 등은 조정의 중신으로서 나라를 누란의 위기에서 구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남명이 제자를 양성한 효과가 이렇게 국가와 민족을 위해 발휘되었던 것이다. 임진왜란 때 거의 대부분의 의병은 남명 문인들이 일으켰다. 국가 운명을 미리 생각하는 남명의 정신이 아니었더라면, 임진왜란 때 왜적을 물리치기가 정말 어려웠을 것이다. 선견지명이 있는 한 사람의 뛰어난 인물에 의해서 국가민족의 운명이 좌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명학파의 뿌리]

남명은 그 학문이나 인물됨에 비해서 후세에 잘 알려지지 않은 편인데, 이는 남명 자신이 저술을 좋아하지 않아 남긴 글이 양적으로 적고,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인하여 남명의 제자들이나 남명학파의 인물들이 중앙무대에서 몰락하여, 남명의 학문이 후세에 계승 발전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남명학파는 겨우 명맥을 유지해오다가 최근에 와서 다시 남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게 되었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발달한 과학기술의 혜택을 입어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보면 정신적 방황은 더 증가되었고, 사회적으로 보면 도덕적 타락과 질서의 파괴는 더 심각하다. 거기에다 환경파괴 계층간 갈등 등이 풀기 어려운 문제로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이런 때에 이를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우리는 남명의 학문과 사상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