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民間)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신앙(信仰). 일반민중의 생활 속에서 전승되어 전종교적(前宗敎的)이며 주술적(呪術的)인 자연적 신앙을 통칭하는 말로, 민간신앙에는 일반민중의 생활 속에서 형성된 마을신앙의 대상이 되는 동신(洞神, 마을 신)을 위시하여 가신(家神, 집안 신), 무속, 독경, 자연물, 영웅, 사귀(邪鬼) 등에 대한 신앙과 풍수, 점복, 예조, 금기, 주술, 풍수...
-
마을을 지켜주는 동신(洞神)에게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며, 제의를 올리는 민간신앙의 한 형태. 마을신앙은 일반적으로 고등종교와 달리 형식과 내용이 조직적이지 못하며, 지역마다 성격이 다르게 나타난다. 자연을 숭배하면서 자연을 신격화하고 신앙하면서 형성된 마을신앙의 대상은 산·물·바위·나무·동물 같은 자연물을 신으로 섬기며, 신앙의 목적도 단순히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극히 현...
-
마을을 지켜주는 동신(洞神)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제의. 동제는 마을 단위의 공동 제의로써 마을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하며 상부상조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당산제, 동신제, 당제 등으로 불린다. 동제는 전통적인 연례행사로서 마을 집단의 사회적 의미와 의례라는 종교적 기능이 복합된 토속신앙으로 볼 수 있다. 동제를 지내는 목적은 주로 마을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고 액을 쫒아내...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계원리 홍지마을에서 지내는 산신제. 매년 7월 15일 백중날에 지내는데, 이 마을이 형성된 고려 때부터 시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예전부터 홍지마을에서는 거의 집집마다 소를 방목했는데, 자연재해로부터 소를 보호하기 위해 산신령에게 제사를 올린 것이 이 우제의 시초가 되었다. 제의는 마을의 남녀노소가 모두 나와 정자나무 아래에 음식을 차려 놓고 소의 무사와 마...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가봉리 우봉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제사. 동제는 동신제(洞神祭), 당산제(堂山祭), 당제(堂祭) 등으로 불린다. 당집 혹은 당산나무를 신이 깃드는 신성공간으로 여기고 그곳에서 마을 주민들이 제를 올린다. 우봉마을 역시 당산나무를 신격으로 모시고 제를 지내고 있다. 이 마을의 동제는 약 70년 전부터 시행되었다. 수령이 400...
-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제사. 운문마을의 동제는 조선 말기부터 시작되어 대략 1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마을 뒷산의 백일나무와 마을 중앙의 정자나무를 신체로 삼고 있다. 제주(祭主)는 궂은 일을 당하지 않은 사람을 선임하고, 마을 사람 모두가 제를 올리는 제관이 된다. 옛날에는 섣달 그믐에 지냈는데, 지금은...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중천리 중천마을에서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동제(洞祭). 조선 중기(약 450년 전)부터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중천리 중천마을에서는 주민들이 마을 입구에 있는 성황당나무(고목의 정자나무) 아래에 모여서 제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화합, 미풍양속의 계승을 기원하였다. 행사는 음력 정월 보름날 행해지는데, 특히 아들을 낳을 수 없는 사람이 참여하면 아들...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에서 소의 무사안전과 마을의 풍년 및 평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동제(洞祭). 매년 음력 7월 15일(백중날)에 명석면의 신기리 동전마을과 계원리 홍지마을을 중심으로 여름 내내 농사일로 고생한 머슴과 함께, 소에게도 감사하고 산신령에게 소의 안녕을 기원하던 독특한 동신제이다. 예로부터 백중날에는 남녀가 모여 가무를 즐기며, 머슴들도 하루를...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왕지리 왕지마을에서 행하는 마을주민의 공동제사. 약 1백 60여 년 전 이 마을에 실제로 살았던 이차순을 기리는 마을제사이다. 이차순은 후손 없이 세상을 떠나게 되자 자신의 전답 약 450여 평을 마을재산으로 기부하였다. 이에 마을주민들은 그가 기부한 전답의 수익금으로 매년 그를 위해 공동으로 마을 제사를 지내고 있다. 마을에 전답을 기부하고 죽은 이차순의...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동제(洞祭). 명석면의 지명 유래가 된, 한 쌍의 자웅석(雌雄石)을 기리는 제사로 ‘운돌제사’ 또는 ‘울돌제사’ 라고도 한다. 원래는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에서 일반적인 동신제의 형식의 제를 지냈는데, 1973년 면민들이 뜻을 모아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 앞 산기슭에 명석각을 건립한 이래로 호국신앙이 가미되면서 면 단위의 제사로...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일원에서 행하여지는 동제. 풍신제는 영남지방과 강원도, 또는 기타 해안지방에서 음력 2월 초하루부터 스무날 사이에 풍신인 영등할머니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집에서 지낼 경우에는 집집마다 부엌이나 뒤뜰에 제단을 차리고, 폭풍우의 피해를 면하여 주고 집안 식구에게 복을 내려 주기를 빈다. 명칭은 ‘영동할만네’, ‘풍신할만네’, ‘영동바람’, ‘영동(등)할머니’,...
-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마성리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 등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동제(洞祭). 마성리는 북마성마을과 남마성마을로 나뉘어져 있는데 음력 정월 보름에 각각 지내고 있다. 마성리에서 언제부터 동제를 지내왔는지 확실히 알 수 없지만, 북마성마을의 경우 200년 동안 이어져 오고 있다. 북마성마을과 남마성마을 모두 나무를 신체로 삼고 있다. 제관은 북마성마을의 경우 마을에...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평촌리에서 지내는 당산제. 마을에 좋은 일만 있도록 동신에게 기원하는 제사로, 동제를 잘못 지냈을 적에는 마을이 해를 입게 된다고 믿고 있다. 당집은 없고 높이 10m 정도의 느티나무를 신목으로 여기고 있다. 느티나무 둘레에 토석(土石) 제단을 마련하고 거기서 제를 지낸다. 음력 1월 15일 새벽 2시에 지내며, 제관은 마을 이장이 맡아 3일 정도 정성을...
-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행해지는 강의 용왕에게 벽사초복을 기원하는 민간신앙 의례. 진주남강 용왕제는 가정의 행운·장수복록·기자다남(祈子多男)·무병·풍작 등을 용왕에게 기원하는 풍속으로, 음력 4월 8일에 남강 강변에 모여 지낸다. 『동경잡기(東京雜記)』상원조(上元條)에는 용왕제를 하고 종이에 밥을 싸서 밤중에 우물에 던진다는 기록이 보인다. 제주(祭主)는 대부분 주부이고, 제물은 술과...
-
무당(巫堂)을 중심으로 하여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풍속이나 신앙. 민간의 신앙은 미신타파라는 계몽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전국 각처에 두루 분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이 무속이다. 무속은 살아있는 종교로서 민간에 깊숙하게 뿌리박고 있으며, 우리의 종교, 사상, 역사, 문화, 음악, 연극 등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잡귀를 쫓음에 있어서 무당은 신과 인간의 매개...
-
「진주삼천포농악」의 전체 12차 중 7차에 해당하는 마당. 빠른 굿거리 가락으로 중앙에서 쇠잡이들이 등을 맞대고 앉아 곧바로 돌아 마주보고는 ‘용개통통’ 가락으로 바꾼다. 이때 쇠를 땅에 놓고 일어서면서 춤을 추다가 점점 빠르게 장단을 몰아 빠른 ‘먹다드래기’ 가락으로 바꿔 몸을 옆으로 하여 뛰며 노는 마당이다. 굿거리 가락이 주를 이룬다. 굿거리는 즉흥적으로 자유롭게 엮어치는 허...
-
집안에 환자가 있을 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굿. 일반 가정에서 행하는 굿은 대부분 우환을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우환은 대개 귀신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믿어왔는데, ‘섬겨야 될 신을 잘못 섬겨 노여움을 산다거나, 잡신이 와서 붙은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우환이 있을 때 굿을 하여 신을 섬기고 잡귀를 몰아내면 우환은 당연히 제거될 거라는 믿음이 굿의 근거가 된다. 우...
-
집안에 우환이 자주 생길 때, 우환을 막고 재수가 있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하는 굿. 재수(財數)란 재물의 운수를 뜻한다. 하지만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이 말을 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즉 사람의 운수 전반을 뜻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재수를 믿는다. 그래서 늘 재수가 있도록 하기 위해 굿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굿이 재수굿이다. 재수굿은 재수가 없어서 하...
-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음력 시월(상달)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가신(家神)에게 올리는 의례. 상달고사(告祀)는 신령에게 음식을 차려 놓고 주부가 제주가 되어 비는 의례로써 집안사람들이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기를 빌거나 집안에 탈이 없고 무사하기를 바라며, 주로 가을에 지내며 추수를 감사하는 의미도 담겨 있다. 상달고사의 유래에 대해서는 상세히 전하는 바가 없으며 다만 옛 기록을...
-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터줏대감에게 지내는 고사. 터주는 집터를 맡아보며 집안의 액운을 걷어주고 재복을 주는 신으로 터줏대감, 터주대장, 토지대장이라고 부른다. 특히 터주는 동서남북, 중앙 가운데 중앙을 다스리는 신으로, 10월 달에 날짜를 택하여 성주풀이를 지내고 난 다음에 터주풀이를 한다. 터주를 상징하는 신체는 집의 뒤뜰 장독대 옆에 터주가리를 만들어 모신다. 터주가리는 서너 되...
-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섬겨온 집 문간의 출입을 단속하는 가신(家神). 일명 수문신(守門神)이라고 한다. 진주지역에서는, 대문을 통해 모든 것이 드나들기 때문에, 잡귀나 부정도 대문을 통해 들어온다고 생각하여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진주지역에서는 집안으로 들어오는 액(厄)을 막아주는 문신을 모시기 위해 주로 뚜껑 있는 바구니에 오색 헝겊을 담아 두었다. 때로는 무당의 쾌자를 넣기도 한...
-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서 섬겨온 산육(産育)을 관장하는 신. 경상남도 진주지방에서는 산육을 관장하는 신을 여신으로 보아서 삼신할미라 부르게 된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는 삼신신앙이 있다. 신앙의 대상이 되는 삼신에는 두 종류가 있다. 먼저, 삼신할아버지가 있다. 환인·환웅·단군의 삼신으로서 때로는 천신·용신·산신으로 부르기도 한다. 다음으로 삼신할미가 있다. 풍백·우사·운사를 가리키는...
-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서 조상의 혼령이 담긴 것으로 여기고 집 안에서 모시는 단지. 세존(世尊)단지 또는 시조단지라고도 한다. 조상단지는 주로 종가(宗家)에서 이어져 내려왔다. 지금은 잘 찾아볼 수 없으며, 조상단지에 대한 신앙의 의도가 분명하지는 않다. 진주 지역에서는 쌀농사와 보리농사가 끝나면 햇곡을 갈아 넣는데, 이 곡식으로 제사 때 놓을 메(제사 때 신위 앞에 놓는 밥)를 짓...
-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서 섬겨온 부엌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조왕신은 조왕각시 또는 조왕할망이라고도 부르는 여성신이자, 재산신이다. 조왕신은 화신(火神)으로서 집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관계한다. 신앙의 목적은 가족들의 질병과 액운을 막기 위해서인데, 조왕신은 삼신처럼 아이를 점지시키는 능력도 있어서 태어난 아기의 건강을 빌기도 한다. 부녀자들에게는 삼신과 더불어 성주신(城主神)...
-
경상남도 진주 지역에서 섬겨온 측간, 즉 화장실을 지키는 신. 진주지역에서는 칙신이라 부르는데 측간을 방언으로 칙간이라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측신각시, 정낭각시, 측간신으로도 일컬어지는데, 성미가 고약한 신으로 생각하였다. 측신은 사람들이 꺼리는 신으로 음력으로 6이 든 날은 변소에 가지 않는 사람도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옛날 사람들이 변소에 갈 때 가래를 돋워 큰기침을 한...
-
산신을 모셔놓은 신당. 마을 어귀나 고개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놓은 돌무더기를 성황당(城隍堂)이라고도 한다. 그 돌무더기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침 세 번을 뱉고 지나가면 재수가 좋다는 속신이 있다. 서낭신앙은 중국으로부터 전래하였다는 설과 민족 고유의 신앙인데 중국의 것과 복합된 형태로...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관지리에 있는 성황신을 모신 신당. 관지리는 진양하씨(晋陽河氏)의 집성촌으로, 옷밭·섬말·관음정을 포괄한다. 관지리 서낭당은 북당·서당·남당·동당의 사방에 있었으나 동당이 없어지고, 일제강점기에 와서 서당과 남당이 없어져 현재는 북당만이 존재한다. 관지리마을 북쪽 숲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별도의 당집은 없다. 제례는 음력 12월 말 개소리나 닭소리가 없는 새...
-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진주성 내에 소재하는 건축물. 1740년(영조 16) 이래로 의기 논개의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한 의기사(義妓祠)를 지켜온 진주 기생들의 모임 장소로 건립되었다. 원래는 논개 사당 아래 있었는데, 진주성 정화사업을 추진하면서 1969년 지금의 촉석광장 서북쪽, 임진대첩 계사순의단 북쪽으로 옮겼다. 목조기와의 익공형식 건물이다. 대문채는 정면 2칸, 측면 1칸이...
-
마을의 수호신으로 산신을 모셔놓은 신당. 우리민족 최초의 산신은 단군이다. 왜냐하면 『삼국유사』「고조선조」에 따르면 단군이 아사달에 들어가서 산신이 되었기 때문이다. 아사달은 한문으로 조산(朝山)으로 번역된다. 따라서 산신은 일반적으로 남성이면서 나이가 많은 노인으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드물기는 하지만 『삼국유사』에 나오듯이 박혁거세와 알영부인의 어머니인 선도산(仙桃山) 신모(神母...
-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당촌리의 당제. 1963년 황씨 할머니(73세)에게 들은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마을사람으로 구성하는 당제계(堂祭契)가 있고 마을마다 제례위원이 구성되어 있어 모든 행사를 진행했다. 당제의 관리 운영을 목적으로 계원은 1년에 쌀 3되를 낸다. 대평면은 예부터 농경문화의 중심지 BC 1~3세기 전부터 농경문화가 형성된 곳으로 전한다. 그래서 윗마...
-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안간리 숲곡마을에 있는 당상(堂上). 진양군 미천면 안간리 숲곡마을에 있는 당상(堂上)은 음력 정월 0시경에 이루어지는 동신제를 치르던 곳으로, 신목(神木)으로 불리는 느티나무를 의미한다. 크게 알려진 바 없으나 마을을 수호하기 위해 심어졌다는 것만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안간리 숲곡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다. 당상(堂上)은 특별한 형태...
-
경상남도 진양군 수곡면 사곡리 싹실마을에 있는 진양하씨의 시조인 하공진의 봉당(奉堂). 진양군 수곡면 사곡리 사곡동 싹실마을에 있는 하시랑공(河侍郞公)의 봉당(奉堂)은 진양하씨(晋陽河氏)의 시조(始祖)인 하공진(河拱辰)의 사당으로, 매년 음력 12월 보름에 제의(祭儀)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제의(祭儀)는 각 종파에서 선출된 10명 내외의 제관(祭官)들이 주관하는데, 인근 후손들도...
-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 안골마을에 있는 당산(堂山). 진주시 옥봉동 안골마을에 있는 당산(堂山)은 음력 정월과 7월 보름 밤 10시에 이루어지는 동신제를 치르던 곳으로, 신목(神木)으로 불리는 패구나무를 의미한다.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 안골마을 뒤에, 말티고개 남쪽으로 위치해 있다. 당산(堂山)은 특별한 형태를 가진 것이 아니라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패구나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
경상남도 진주시 평거동에 있는 미륵보살을 모신 신당. 미륵당은 득남과 치병의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륵당 안에 모셔진 불상은 신라 또는 고려 때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불분명 하다. 평거동 안동네마을 서쪽의 동향한 산정에 위치하고 있다. 신당은 2평 내외의 함석집이다. 당집 내부는 시멘트 제단 위에 연꽃 방석을 놓고 좌불상을 모셔 놓았다. 제의는 음력 정월 초하루, 4...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창촌리에 있는 솟대의 일종인 화주대.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창촌리에 위치한 화태꺼리는 화주대의 일종으로 화주대란 솟대를 말한다. 솟대란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나무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힌 마을의 신앙대상물이다. 솟대는 홀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대부분 장승, 선돌, 탑, 신목(神木) 등과 함께 세워져 마을 신앙의 한 부분을 구성한다.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관봉리에 위치한 돌무더기 형태의 신앙대상물.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관봉리에 위치한 돌무더기 형태의 신앙대상물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마을에서 모시는 신이 있는 신당(神堂)의 형태는 나무만 있는 신수(神樹) 형태와 제단이 있는 형태, 신수와 그 옆에 돌무더기가 있는 형태, 당집이 있는 형태 등 다양하다. 경상남도 정촌면 관봉리 내계 서북쪽에 있는 터에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자매리 월계마을 남쪽에 있는 골짜기. 무우제(舞雩祭), 즉 기우제(祈雨祭)를 지내던 제의 장소이다. 옛날에 기우제를 지내고 덕을 봤다고 해서 ‘덕굼텅’이라고도 한다. ‘무제(무우제)’는 수제(水祭) 즉 기우제를 말하며, ‘굼팅이’는 이 지역의 사투리로 구덩이를 말한다. 진주시 수곡면 자매리 월계2반 서쪽 야산은 산정상부 한 가운데가 오목하여 마치 쌍봉낙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