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주검무」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3202
영어음역 Jinju Geommu
영어의미역 Jinju Sword Dance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염혜영

[정의]

진주지방에 전하여 내려오는 칼춤으로서 중요무형문화제 제12호(1967년 1월 16일 지정)인 진주검무는 검기무(劍器舞)라고도 하는데, 교방춤의 하나로서 우아하고 화려한 장단과 춤사위를 잘 보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궁중계열의 무용 중에서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된 춤.

[개관]

검무는 서기 660년경 신라시대에 발생된 춤으로, 고려 말까지 가면을 쓰고 연출되었는데, 이는 당시 문인 이담(李擔)이나 이유원(李裕元)의 시를 보아도 알 수 있다. 그 후 조선조 초기까지 문헌 등에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가 순조 때 궁중 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에 다시 나타난다. 이때의 무도홀기를 보면, 민속에서 시작된 검무가 궁중으로 흘러들어갔음을 짐작케 하며, 오늘의 진주검무가 여기서 유출된 것을 알 수 있는데 궁중에서 추어진 검무가 진주에 전승 보존된 내력은 다음과 같다.

과거 진주감영에는 관기(官妓)를 교육 감독하는 부서인 교방청(敎坊廳)이 고종 연간까지 있어왔다. 여기에 최순이(崔順伊)[일명 完子, 1884~1969]라는 무녀(舞女)가 있었는데, 13세 때 진연도감청(進宴都監廳)에 선상기(選上妓)로 뽑혀 올라가 1904년부터 궁중무희로 있다가 1910년 경술국치와 더불어 낙향하여 다시 진주로 돌아왔으나 곧 진주감영이 폐쇄되고 아울러 교방기구도 해산되었다.

얼마 후 일본인 감독 하에 다시 기생조합 형태로 유지되었는데 여기서 최순이는 1918년부터 후배 양성을 하였다. 당시 제자 중에는 진주검무 최초의 선구자였던 김자진(金子眞)[1967~1978], 서상달(徐上達)[1903~1967], 강귀례(姜貴禮)[1906~1978], 이윤례(李潤禮)[1903~1999], 최예분(崔禮分)[1912~1993], 김순녀(金順女)[1926~ ] 등에게 검무를 비롯한 여러 가지 가무를 전수시켰다. 이 결과 진주검무가 1967년 무형문화재 12호로 지정받게 된 것이다.

1968년 8월부터 후계자 양성 전수사업을 시작하여, 이윤례·김자진으로부터 성계옥(成季玉)·정필순(鄭畢順)·정금순(鄭今順) 등이 제1기생으로 전수받았고, 이후 최예분·강귀례로 부터 김연이·정금순이 전수받았으며, 이음전·김순녀로부터 서정남·조숙희 등이 전수를 받았다. 이 중 성계옥은 1978년 6월 20일자 보유자로 인정받아 진주검무와 진주의 전통예술 분야에 헌신적인 공헌을 하는데, 현재까지도 진주검무보존회장을 맡아 많은 전수자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정필순은 1982년에 보유자후보로 선정되었으나 1999년 6월 29일 사망하여 해제되었고, 정금순은 1985년에 조교로 선정되었다가 2001년 11월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한편 1980년까지는 진주에 검무전수교육장이 없어 많은 애로를 겪었으나 성계옥이 스위스인 하우스비얼트씨의 도움을 받아 신안동 15-24번지에 전수회관(대지 200평, 건평 130평, 콘크리트 슬라브 2층)을 짓고부터는 진주검무의 전수사업이 더욱 활발했으나 비좁은 연습장으로 인해 애로를 겪던 중 2002년 11월 진양호에 새로 건립한 진주시 전통예술회관으로 이전하여 현재 활발한 전수활동을 하고 있다.

[유래]

검무의 발생과 연원에 관하여는 『동경잡기(東京雜記)』「풍속조」에 “신라의 7세 소년 황창랑(黃倡郞)이 백제 궁중에서 검무를 추다가 백제왕을 찔러 죽이고 자기도 백제인들에게 죽은 뒤 신라인들이 그를 애석하게 여겨 황창의 얼굴을 본떠 탈을 쓰고 그의 영혼을 위로한 데에서 검무가 비롯되어 전해온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한편 『동경잡기』「관창조(官昌條)」에는, 신라와 백제가 싸울 때 신라 장군 품일(品日)의 아들 화랑 관창이 15, 6세 때 품일 장군 휘하의 부장으로 검무를 잘 추었는데 백제군의 정찰병으로 출전했다가 계백 장군에게 잡혀 참수를 당한 뒤 관창의 탈을 만들어 신라병에게 씌워 칼춤을 추게 하고 사기를 올려 황산벌싸움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 그런데 전자에 말한 7세 소년 황창의 설은, 후자의 관창의 와전으로 보아진다. 왜냐하면 7세 소년이라는 말도 이치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신라 역사서에도 그와 같은 기록이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검무의 유래는 화랑 관창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타당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후의 상황은 『동경잡기』·『증보문헌비고』·『삼국사기』, 또는 당시 문인 이담·이유원 등의 글을 보아 검무가 고려 말까지 가면을 쓰고 연출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검무가 언제 어떤 경로를 통해서 궁중에 들어갔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중·후기부터 궁중의 진연의궤 가운데 정재무도홀기가 나타나는데, 영조 때에는 검무를 두 종류로 나누어, 남자들만 모이는 외연(外宴)에서의 춤인 첨수무(尖袖舞)와 여자들만 모이는 내연(內宴)에서의 춤인 공막무(公幕舞)로 구분되어 연출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무도홀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오늘의 진주검무가 여기서 유래된 것을 잘 알 수 있는데, 진주교방 출신 최순이고종 때 궁중무희로 있다가 고향인 진주에 돌아와서 진주권번에 검무를 전해준 것이 오늘의 진주검무가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전부터 교방에서는 검무가 추어져오고 있었다는 사실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시집 「무검(舞劒)」편에 진주검무를 찬미한 내용이 있어, 최순이 이전에도 진주에서 검무가 추어져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말의 시인 황현(黃玹)의 『매천야록(梅泉野錄)』에는 진주 명기 산홍(山紅)이 검무를 잘 추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진주 검무보유자인 고 이윤례가 구전하는 바에 의하면, 과거 고종순종 7세 탄신잔치에 진주 관기들이 뽑혀 올라가 검무를 잘 춘 결과 최고 수상으로 상품에 옥관자(玉冠子)를 비롯하여 많은 채단을 받았다고 하면서, 진주교방에서는 자고로 가무를 배우려면 검무부터 필수적으로 배워야 다른 예술을 배울 수 있었다고 말한 바 있다. 진주에서는 논개부인 및 임진란 때 순국한 의병들에 대한 제향(祭享)은 물론, 여러 애국행사에는 예로부터 진주검무를 헌무(獻舞)로 추고 있는데, 진주검무의 내력은 아무래도 최순이 이전부터 토착하고 있었음이 틀림없으며, 이 춤이 궁중으로 흘러가서 궁중무의 형태를 포함하여 다시 진주로 돌아온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무복(舞服)과 무구(舞具)]

검무의 복장은 남색 치마에 옥색 회장저고리를 입고 치마를 걷어 사대(絲帶)로 맨 위에 전복을 입는다. 전복은 남색 갑사천으로 겉을 하고 안감은 홍색 갑사로 만들어 치마저고리 위에 입으며 전대(戰帶)는 홍색 갑사로 댕기 접듯이 접어 끝을 귀를 접는데, 길이는 약 300㎝이고, 폭은 10㎝이다. 전립(戰笠)은 흑모(黑毛)로 짠 천으로 만드는데, 조선시대 군모(軍帽)를 본뜬 것으로 계급장과 당시의 군인 표시를 달았다. 검(劍)은 한 쌍인데, 백동으로 칼날을 만들고 자루에는 붉은 비단을 붙이고 칼 끝 부분과 자루 부분에는 장식수술을 달았다. 칼 길이는 10㎝이다. 진주검무 칼은 다른 검무 칼처럼 목이 꺾어지지 않고 고정되었기 때문에 농검(弄劒)을 할 때 손목을 많이 돌려야 칼이 제대로 노는 것이 특징이다. 색한삼(色汗衫)은 칠색갑사로 색동을 만든 한삼을 양 손에 맨다(白·紅·綠·분홍·黃·藍). 길이는 75㎝, 폭은 35㎝이다.

[반주악기 편성 및 장단구조]

진주검무의 악기는 북·장고·대금·해금 및 피리 한 쌍으로 편성된다. 반주장단 순서는 긴염불 27장단, 타령 58장단, 도드리(허튼타령) 68장단, 느린타령 5장단, 도드리(허튼타령) 74장단, 자진모리 15장단이다.

[춤사위]

진주검무의 춤사위에는 한삼평사위·배맞추기·숙인사위·한삼뿌릴사위·쌍어리·결삼사위·맨손입춤(깍지떼기)·방석돌이·자락사위·진퇴무(삼진삼퇴)·옆사위·윗사위·외칼사위·쌍칼사위·위엄사위·연풍대·대열풀기 등이 있다.

진주검무가 궁중에서 추던 검무의 영향을 받았으나 애초 검무는 민간에서 추던 것이 궁중으로 유입된 것으로, 민간에서 추었던 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동작이 바로 연풍대이다. 연풍대의 동작은 농악과 검무에서 주로 쓰였다. 이처럼 민속에서 활달하게 추어졌던 검무가 궁중으로 들어가 정재의 영향을 받게 되어 장중한 동작들이 덧입혀지고 다시 민간으로 유출되면서 정재와 민속의 춤사위들이 적절하게 겹친 검무가 바로 진주검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진주검무는 정재와 민속이 합친 것으로, 춤사위마다 살펴보면 정재적인 요소와 민속적인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다.

한삼평사위는 춤의 처음인 평사위로 한삼을 낀 팔을 어깨 높이로 들고 장중하면서도 우아하게 발을 내딛는다.

배맞추기는 상대와 마주보다가 서로 90도 각도로 돌며 서로 배를 맞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염불장단에 맞추어 느리면서도 서서히 움직임을 표현하는 동작이다.

숙인사위는 양 손을 어깨 위로 모아 내렸다가 손바닥을 아래로 하며 살며시 앉는 듯이 몸을 굽히다가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일어서는데, 이때 오른손은 전립의 테두리 끝 가까이에 울러 매고 왼손은 가슴 밑에 굽혀 든다.

한삼뿌릴사위는 한삼을 뿌린다 하여 뿌릴사위라 붙여진 동작으로, 숙인사위에서 이어지는 동작이다. 왼손을 왼쪽으로 반달모양으로 한삼을 뿌리면서 굴신하고, 이어서 오른손을 오른쪽으로 뿌리며 굴신하는데 시선은 한삼을 향한다.

쌍어리는 상대를 마주보는 동작으로 머리 위로 모았던 팔을 장단이 타령으로 바뀌면서 활짝 펴는데, 오른발을 앞으로 서로에게 내딛는다. 다시 팔을 모아 오른 손등을 상대의 어깨에 얹고 왼손은 허리를 감싸 안았다가 첫 박에 손을 뒤집어 어깨에 바로 얹으면서 서로의 몸이 떨어졌다 붙었다 하며 어르기를 한다. 한삼을 끼고 추는 쌍어리와 맨손으로 추는 쌍어리의 동작이 같다.

결삼사위는 한삼을 손목에서 빼는 동작으로, 한삼사위와 맨손사위를 잇는 동작이다. 오른손을 크게 휘둘러서 왼손 위에 포개고 이어 오른발에 몸의 중심을 두며 왼손의 한삼을 빼고 왼발에 중심을 이동하면서 오른손의 한삼을 뺀다.

낙삼사위는 손목에서 빼낸 한삼을 바닥에 던지는 동작으로, 오른손에 한삼을 쥐고 왼손으로 받쳐 들어 정중하면서도 살며시 바닥에 던져 놓는다.

깍지떼기는 맨손잎춤이라고도 불리는데, 오무렸던 손가락을 활짝 폈을 때 꽃잎의 잎사귀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이다. 다섯 손가락을 오무렸다가 한꺼번에 펴는데, 오른손은 이마 위 전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왼손은 가슴 밑으로 뻗어 아래로 향한다. 오른손은 오른쪽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려 치마를 가볍게 잡고 왼손은 위로 호흡과 같이 들어 올려 어깨높이로 와서 손목에 힘을 빼며 툭 내려놓는다.

방석돌이는, 손의 형태가 깍지떼기와 같으나, 두 손을 어깨 위로 매었다가 앉으면서 두 손을 양 옆으로 내리고 앉은 상태에서 깍지떼기의 손 모양을 하면서 다시 일어선다. 이렇게 세 번 반복하고 마지막에는 오른발부터 숙인 자세로 뒷걸음질하며 물러서면서 일어선다.

자락사위는 서서 추던 춤과 앉게 되는 동작의 연결을 이어주는 사위로, 달팽이 모양으로 돌면서 전복자락을 잡으며 앉는다. 이때 전복의 겉 부분, 즉 남색 쪽을 잡아야 한다. 자락사위는 칼을 잡고 본격적인 검무를 추기 위한 앞 동작으로 도드리장단에 맞추어 활발하게 움직이는 칼 사위 동작을 위해 전복의 휘날림을 막고자 뒤로 묶는 과정이다.

위엄사위는 칼을 쥐고 일어선 동작으로, 칼을 잡은 군인의 위엄이 돋보이는 동작이다. 왼손이 위로 가고 오른손이 가슴 밑으로 가게 하여 두 손이 비껴 사선이 되도록 하는데, 칼을 잡은 손이 밖에서 안으로 확 잡아채듯이 절도가 필요한 동작이다.

칼사위는 검을 사용한 동작인데, 진주검무의 무구로 쓰이는 칼은 칼 목이 꺾이지 않아서 칼 사위가 어려운 편이다. 칼을 돌리는 것이 아닌 손목을 써야 하는데, 칼을 뿌려내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박력 있고 힘찬 칼 사위가 된다.

진퇴무는 세 번 앞으로 나아가고 뒤로 세 번 물러선다고 하여‘삼진삼퇴’라고도 한다. 이 동작은 두 사람이 상대하여 마주서서 세 번씩 왔다 갔다를 반복하는데, 서로 마주보며 칼로 윗사위를 하는 모습이 전쟁에서 군인들이 칼싸움을 하는 모습을 춤으로 표현한 동작이다.

연풍대는 검무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동작으로, 화려하고 우아한 칼놀음을 하며 원형으로 돌며 추는 사위이다. 전복의 자락이 휘날리는 모습이 마치 제비의 긴 꼬리를 휘날리며 날아가는 모습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열풀기는 원형을 풀어 정면을 향해 일렬로 만드는 동작으로 발은 자즌타령에 맞추어 한 발씩 내딛고, 손은 위에서 칼을 뿌려 내리기를 좌우로 반복한다.

인사태는 윗칼사위-오른쪽, 옆칼사위-왼쪽, 옆칼사위-윗칼사위를 하고 배 앞에서 엇갈기를 하여 팔을 뒤로 크게 돌려 내리며 오른 무릎을 세워 앉아 절을 하여 끝맺음을 하는 동작이다.

[지정과 전승계보]

진주지역에는 많은 인물들이 진주검무의 기예능보유자를 지냈으며, 현재에도 기예능보유자와 전수 조교들이 활약하고 있다. 이외에도 이수자와 전수자 수십 명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1]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2]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3]

[진주검무의 특징]

진주검무는 궁중에서 연희하던 검무의 원형을 완전 보존하고 있어 우리나라 칼춤 형태에 관한 중요한 자료가 되며, 오랜 역사와 전통성을 지니고 있어 예술적인 가치가 풍부하고 무용사적인 면에서도 근거가 정확하다. 그리고 춤사위가 다양하고 칼 쓰는 법이 독특하며 처음에 색한삼을 양손에 끼고 추는 등 원형을 그대로 보전하고 있다,

진주검무가 보유한 춤의 순수성은 진주교방의 전통을 이은 진주권번 출신의 노기들이 많이 남아 있어 이 춤을 전승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으며, 진주검무가 궁중검무에서 유출된 만큼 정재적인 요소가 강해 정재무(呈才舞)의 기본 형식을 갖추고 전승한다는 점에서 다른 민속무와 구분한다.

[진주검무의 수상 내역]

진주검무는 1967년 1월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이후, 1974년 전국민속경연대회(광주) 장려상, 1976년 5월 경남민속예술경연대회(진해) 최우수상, 1976년 10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수원) 문공부장관상, 1977년 4월 경남민속예술경연대회(진해) 최우수상, 1977년 10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진주) 문공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