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30033
한자 晉州靑谷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十王像一括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월아산로 1440번길 138[갈전리 1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선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57년연표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제작
보수|복원 시기/일시 1750년연표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개분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2월 21일연표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보물 제168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청곡사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월아산로 1440번길 138[갈전리 18]
성격 불상
재질 목조
크기(높이) 106.3㎝[지장보살상 높이]|176.5㎝[무독귀왕 높이]|138㎝[도명존자 높이]
소유자 청곡사
관리자 청곡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청곡사 업경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조 지장보살 삼존상과 시왕상.

[개설]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불상의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 발원문과 「진양 동월 아산 청곡사 불상 개금 시왕 개채기(晉陽東月牙山靑谷寺佛像改金十王改彩記)」에 1657년(효종 8) 제작된 후 1750년(영조 26) 개금과 개채되었다고 나와 있다. 2010년 12월 21일 보물 제168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업경전은 명부 세계와 관련된 곳으로 목조 지장보살 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10구, 범천과 제석천, 귀왕, 판관, 인왕이 배치되어 있다. 지장보살 좌상은 높이 106.3㎝로 새로 제작된 대좌 위에 앉아 있고, 좌우에 석장을 쥔 도명존자상[높이 138㎝]과 사각함을 받쳐 든 무독귀왕상[높이 176.5㎝]이 서 있다. 왼쪽에 홀수 대왕, 오른쪽에 짝수 대왕이 여러 가지 지물을 들고 다양한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다.

지장보살 좌상은 도명존자, 무독귀왕, 시왕상 등과 같이 얼굴이 크고 넓적하게 둥근형이다. 눈은 눈꼬리가 많이 올라가고, 코는 얼굴에 비해 작은 편이면서 콧대가 높으며, 입은 얼굴에 비해 아주 작게 표현되어 있다. 각 존상(尊像)은 신체에 비해 머리를 크게 제작하였다. 특히 무독귀왕, 시왕상 등은 관모가 높아 삼등신의 신체 비율을 보인다.

목조 지장보살 좌상은 대의 안쪽에 편삼을 입고,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자락 끝단이 겨드랑이까지 둥글고 짧게 늘어지고 나머지 대의 자락이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간다. 하반신을 덮은 대의 자락은 배에서 한 가닥의 옷 주름이 거의 중앙으로 낮고 길게 늘어져 여러 겹으로 접혀 있고, 왼쪽 무릎 위에는 소매 자락이 여러 겹 U자형으로 늘어져 있다. 시왕상은 높은 관을 쓰고, 손에 홀과 경전, 붓 등의 지물을 들거나 손으로 수염 끝을 쥐고, 다양한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다.

[특징]

청곡사 업경전에 봉안된 불상들은 조성 발원문에 조성 시기가 적혀 있지 않고, 화공(畵工)인 인영(印迎), 탄준(誕隼), 지변(智邊), 학렴(學廉), 서명(瑞明), 법률(法律), 종탄(宗誕), 선우(善祐)가 만든 것으로 나와 있다. 현판인 「진양 동월 아산 청곡사 불상 개금 시왕 개채기」에는 인화(印化) 스님이 1657년 지장보살 등의 불상을 만들었다고 적고 있다. 청곡사 업경전 불상을 만든 조각승 인영이나 탄준 등은 청곡사 불상 외에는 기년명 불상이 조사되지 않은 작가들이다.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의 불상들은 특히 얼굴의 표현이나 인상이 매우 특이하여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조각승들이 만든 불상과 차이가 많이 나는데, 범천상과 제석천상은 조각이 뛰어나고 조선 후기 현존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의의와 평가]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657년 제작된 후 1750년에 조각승 상정 등이 개금과 개채하였다. 따라서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 연구에 절대 편년을 가진 기준 작품으로. 불상의 조성과 개금 시기 및 작가 등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복장물로 발견된 낱장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6에 한글 묵서가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명부 신앙과 관련된 연구나 17세기 중반 한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